검증 사이트 추천SW 가이드/보고서
[검증 사이트 추천SW 라이선스 가이드] ⑤ 2차 저작물 재산권 확보 방법
5. 2차적 저작물 재산권 확보 방법
▣ GPL 및 LGPL 소스코드 검증 사이트 추천 범위
GPL 검증 사이트 추천SW 사용시 수정된 모든 소스코드를 검증 사이트 추천하여야 하며 LGPL은 링크시킨 경우 검증 사이트 추천의무가 없다. 다만, GPL의 경우 http://www.gnu.org에서 제공하는 FAQ에 따르면 링크관계 없이 fork() & exec()를 통해 생성되어 pipe, socket, command-line argument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독립된 프로세스로 구성하는 경우 검증 사이트 추천하지 않아도 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림 II-1. 소스코드 검증 사이트 추천 범위 예시]
□ (GPL에서 소스코드 검증 사이트 추천범위) GPL의 경우 [그림 II-1]에서 파일 A, 파일 B, 파일 C를 모두 검증 사이트 추천하여야 한다. 다만, 파일 B와 파일 C를 검증 사이트 추천하고 싶지 않을 경우에는 파일 B와 파일 C는 파일 A와 링크관계 없이 fork() & exec()를 통해 생성되어 pipe, socket, command-line argument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독립된 프로세스로 구성하는 경우 검증 사이트 추천하지 않아도 된다.
□ (LGPL에서 소스코드 검증 사이트 추천범위) LGPL의 경우 파일 A만 검증 사이트 추천하면 되고, 파일 B와 파일 C는 링크 관계이기 때문에 검증 사이트 추천하지 않아도 된다.
▣ GPL 및 LGPL 2차적 저작물 재산권 확보 방법
GPL 및 LPGL을 이용하여 프로젝트를 개발할 경우 재산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획 단계부터 라이선스 사용계획을 세워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개발을 진행하면 된다.
□ (GPL에서 2차적 저작물 재산권 확보) 검증 사이트 추천를 원하는 코드는 파일 A에 자체 개발 코드를 포함하면 되고, 검증 사이트 추천를 원하지 않는 소스코드(재산권 관련 정보 및 기술 등)은 파일 B와 파일 C와 같이 반드시 링크관계 없이 [그림 II-2]처럼 독립된 프로세스로 구성하여야 한다.

[그림 II-2. GPL에서 검증 사이트 추천 범위 예시]
□ (LGPL에서 2차적 저작물 재산권 확보) 검증 사이트 추천를 원하는 코드는 파일 A에 자체 개발 코드를 포함하면 되고, 검증 사이트 추천를 원하지 않는 소스코드(재산권 관련 정보 및 기술 등)은 파일 B와 파일 C는 [그림 II-3]처럼 링크관계를 유지하면 된다. 다만, 사용자가 라이브러리 수정 후 동일한 실행 파일을 생성할 수 있도록 Static link의 경우는 응용프로그램의 Object Code를 제공해야 한다. 즉, 파일 B를 Static link시 파일 B의 Object Code는 검증 사이트 추천해야 한다.

[그림 II-3 LGPL에서 검증 사이트 추천 범위 예시]
[연재 차례]
0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