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천사
● 저자 서문
● 한국어판 저자 서문
● 해커 문화의 짧은 역사
● 성당과 시장
성당과 시장
메일은 배달되어야만 한다
사용자가 있다는 것의 중요성
일찍, 그리고 자주 발표하라
장미가 장미다우려면
팝클라이언트가 페치메일이 되다
페치메일의 성장
페치메일에서 배울 점
시장 스타일 개발에 필요한 선행 조건들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사회적 문맥
후기: 네트스케이프가 시장 스타일을 받아들이다!
읽어볼 만한 글들
감사의 글
● 얼누리의 개간
모순의 소개
해커 이념의 다양성
방종한 이론과 순결한 실천
소유권과 오픈소스
로크와 토지 소유권
증여경제로서의 해커 문화
해킹의 즐거움
명성의 여러 모습
소유권과 명성 추구 동기
자아의 문제
겸손의 가치
명성 게임 모델의 포괄적 의미
얼마나 좋은 증여인가?
얼누리 소유권과 세력권의 동물행동학
분쟁의 원인
프로젝트의 구조와 소유권
분쟁과 분쟁 해결
문화적응과 학계로의 연결
교환을 능가하는 증여
결론: 관습에서 관습법으로
앞으로의 과제
감사의 글
● 마법의 솥
마법과 구별할 수 없는
증여하는 기크를 넘어
제조업 착각
정보는 무료여야 한다는 신화
역 공유지
소스를 폐쇄하는 이유
사용가치에 의한 자금 마련 모델
왜 판매가치가 문제가 되는가
간접 판매가치 모델
메이저 카지노할 때와 폐쇄할 때
전략 무기로서의 오픈소스
경쟁 무기로서의 비용 분담
경쟁 초기화
연못 넓히기
목 조르기 막기
오픈소스와 전략적 사업 위험
오픈소스의 사업 생태
성공에 대처하기
오픈 R&D와 후원 제도의 재발명
더 높은 곳으로 도약하기
결론: 혁명 뒤의 세상
뒷이야기: 왜 드라이버를 폐쇄하는 업체가 손해를 보는가?
감사의 말
● 해커들의 반란
● 후기
0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