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클라우드를 통한 오픈소스 DBMS 혁신과 발전
- Open UP -

  • 2021년 DBMS 시장규모 800억달러, 전년대비 22.3%성장,클라우드가 크게 기여

    1. 2023년클라우드DBMS가전체DBMS시장매출50%를차지할것으로전망

  • DB엔진은2021년1월기준전세계DB인기도순위에서오픈소스DB가사상처음으로상용DB를넘어섰다고밝힘.

    1. 2013년오픈소스DB의총인기도점수는전체의35.5%에불과,2021년50.1%를차지.

□ 가트너가발표한2021년글로벌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보고서는지난해시장규모800억달러,전년대비22.3%성장,2023년에는클라우드DBMS가전체DBMS시장매출50%를차지할것으로전망

검증 사이트 추천

  1. 최근5년DBMS시장TOP5
  2. 출처:https://www.etnews.com/20220502000153

  • 최근5년간DBMS시장변화에는세가지큰특징이있음

    1. 클라우드서비스시장매출,DBMS시장비례반영,톱5업체시장점유율감소,클라우드DBMS에서운영DBMS비중이점차늘어나고있다는점

    검증 사이트 추천

  • 최근5년DBMS시장Cloud,OnPremises비교

  • 출처:https://www.etnews.com/20220502000153

    1. 2021년DBMS시장은MS,AWS,오라클,구글,IBM순으로시장톱5를차지하고있음.

    2. 3대하이퍼스케일러외에오라클,IBM역시클라우드서비스기업으로전환에올인해왔다는점에서사실상DBMS시장톱5는클라우드서비스사업자가차지한다고볼수있음

    3. 상위5개사시장점유율은조금씩줄어2018년85.6%에서2021년에는80.6%로떨어짐

      *이는알리바바,클라우데라,데이터브릭스등신흥클라우드기반DBMS업체시장진입과성장세때문

    4. 2011년세계DBMS공급업체는약23개사였으나10년이지난2021년35개사로늘어남

    5. 검증 사이트 추천

    6. DBMS시장점유율추이

    7. 출처:https://byline.network/2022/04/28-223/

      1. 오라클처럼전통의강자를비롯해,온프레미스(On-Premise)모델없이클라우드에서만서비스하는DB들도다수나타남

        *온프레미스란기업의서버를클라우드같은원격환경에서운영하는방식이아닌,자체적으로보유한전산실서버에직접설치해운영하는방식을의미함

      2. 온프레미스모델없이오직클라우드에서만DBMS를서비스하는회사들은대체로급격히우상향의모습을하고있음

        *클라우드DB에대한기업들의관심이지난2~3년간얼마나커졌는지알수있는대목

        *IBM이시간이갈수록한계단씩내려가는것은클라우드에제대로대처하지못했기때문

      3. 클라우드DB가인기가많은이유는관리가편하고,확장성이보장되기때문

      4. 현재추세로볼때2022년부터는클라우드DBMS의매출이온프레미스기반DBMS매출을넘어설전망

  • 클라우드에DBMS업계의영향력은계속해서커지고있음

  • 2019가트너매직쿼드런트

  • 출처:https://www.ddaily.co.kr/news/article/?no=191015

    1. ‘2019운영(Operational)DBMS매직쿼드런트보고서’에서도주요클라우드기업Microsoft,Oracle,AmazonWebServices3사모두리더그룹에올라옴

    2. 2015년처음으로리더에진입한AWS의경우,다양한DB서비스를제공하며선두를지키고있음.

      *가트너에따르면AWS의DB매출성장세는전년대비약75%에달함.

    3. MS는9개업체가운데클라우드DBMS매출이134%나증가하며클라우드DBMS시장에서가장높은성장세를보였음

□ DB엔진은2021년1월기준전세계DB인기도순위에서오픈소스DB가사상처음으로상용DB를넘어섰다고밝힘.

  1. 상업라이선스와오픈소스라이선스의인기트렌드

    출처:https://www.ddaily.co.kr/news/article/?no=210215

  • 오픈소스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의인기가높아지면서상용DBMS가위협,전세계DB인기도순위에서오픈소스DB가사상처음으로상용DB를넘어섬

    1. DB엔진은매달구글에서검색되는양과개발자Q&A커뮤니티스택오버플로우에서언급되는데이터를기준으로순위를발표하고있음,여기서말하는순위는실제로사용되는DB의수치와는다소거리가있지만최근시장트렌드를반영

    2. 8년전인2013년만해도오픈소스DB는총인기도점수는전체의35.5%에불과했으나,2021년에는50.1%를차지하며대세로자리잡음

    3. 현재DB엔진의인기도순위에오른상위3개시스템중2개는상용라이선스와함께제공되는반면,상위10개시스템중7개는오픈소스였고,순위에포함된시스템의51.2%가오픈소스DB로분석

    4. 21년2월DB엔진순위기준가장있는오픈소스DB는MySQL과PostgreSQL이다.이두제품은DB영역뿐아니라오픈소스분야에서도개척자로여겨짐

    5. 초반에는비용절감과특정기업종속에서벗어나기위한방안으로주목받았지만,현재는클라우드네이티브등최신IT트렌드에대응하고빠른기술혁신을위한기반으로각광받고있음

  • 오픈소스DBMS수요확대

    공공클라우드사업참여오픈소스DBMS기업.제품

    출처:https://www.etnews.com/20220516000174

    1. 오픈소스기반의DBMS도최근기업들의많은관심을받고있음.여러이유가있겠지만,그중에서도상용DBMS관리·운영에따른비용부담이슈가크게작용한것으로보임.

    2. 전세계DBMS시장의탈오라클화가가속

      *기업들이오라클과같은상용DBMS를오래사용하면서느끼는비용부담이커졌다는데있음

    3. 그간기능이나성능적인측면에서신뢰가부족했던오픈소스DBMS가지속고도화되고,현업에적용돼상용DBMS를대체하는사례도늘어나면서오픈소스DBMS에대한시장의주목도가커지고있음

    4. 오픈소스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기업이공공클라우드전환과대구정부통합데이터센터사업에대거참여할예정

      *행정안전부와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이르면이달말'2022년행정·공공기관정보시스템클라우드전환·통합사업(1차)'을발주,공공클라우드전환사업은클라우드관리서비스제공사(MSP)와클라우드서비스제공사(CSP)뿐만아니라오픈소스DBMS기업경쟁도관전포인트

    5. 지난해보다전체사업규모가몇배커진데다내부업무까지클라우드이전이시작되면서DBMS의중요성이커졌기때문

    6. 클라우드환경을지원할유연성과비용절감요인등을감안하면오픈소스DBMS가도입될것으로예상

    7. '클라우드+오픈소스'DBMS조합을통해구축기간을줄이고관리의편의성을높일수있다는점도오픈소스DBMS가주목받는이유

시사점

    1. 현재온프레미스없이클라우드로만운영하는회사들이크게성장,클라우드에대처하지못하는회사는뒤처지고있음.클라우드의영향력은점점더강해질전망

    2. 오픈소스DBMS의사용은처음엔비용적측면때문에많이사용됐지만최근엔빠른트렌드적용과사업의빠른시작에용이해많은기업,정부에서도사용

□ 주목할 만한 월간 이슈(9월)

  • (검증 사이트 추천) 오픈소스 ML 라이브러리 ‘파이토치’, 메타에서 독립
    1. 오픈소스 기계학습(ML) 라이브러리 파이토치가 페이스북의 모 기업 메타에서 독립함.
    2. 메타는 이번 결정에 대해 인공지능(AI)의 발전을 가속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함.
    3. 독립 이후에도 계속해서 파이토치에 투자하고 회사의 인공지능(AI) 연구 및 프로덕션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기본 프레임워크로 사용할 것이라고 밝힘.
  • (보안) "보안 위험 줄이는 종속성 관리법" 오픈SSF, 'npm 베스트 프랙티스 가이드' 발표
    1. 최근 오픈SSF(The Open Source Security Foundation, OpenSSF)가 npm 베스트 프랙티스 가이드(npm Best Practices Guide)를 발표함.
    2. 개발자들이 종속성을 점점 더 많이 공유하고 사용하는 것은 신속한 개발과 혁신에 기여할 수 있지만, 동시에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기에 주의가 요구됨.
    3. 오픈SSF 기여자들은 블로그에서 오픈소스 종속성을 사용하는 이점이 단점을 능가하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상당한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며, “간단한 종속성 업데이트로 종속 프로젝트가 중단될 수 있음.
    4. 또한 다른 소프트웨어처럼 종속성에 취약성이 있거나 하이재킹되어 이를 사용하는 프로젝트에 영향을 줄 수 있다”라고 썼음.
      *하이재킹은 다른 사람의 세션 상태를 훔치거나 도용하여 액세스하는 해킹기법임
    5. 따라서 npm 베스트 프랙티스 가이드는 개발자와 조직이 직면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안전한 종속성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구체적으로 npm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급망 보안 기능의 개요를 제공하고 종속성 사용에 관한 문제를 설명하며, 각 프로젝트 단계에서 위험을 줄이는 방법을 제시함.
  • (플랫폼) '오픈 플랫폼 얼라이언스' 출범
    1. 서비스형플랫폼(PaaS) 기반 클라우드 산업 발전과 생태계 활성화 구심점이 될 '오픈 플랫폼 얼라이언스'(OPA; Open cloud Platform Alliance)가 31일 공식 출범함. 민간이 주도하는 OPA는 대·중·소 기업 협력으로 국내 클라우드 산업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을 두고 있음.
      *얼라이언스는 초고선명(UHD)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할리우드 영화사, TV 제조사, 콘텐츠 배급업체 등이 결성한 연합체임.
    2. 회원사로는 나무기술·티맥스클라우드·이노그리드 등 PaaS 전문기업, 네이버클라우드·NHN클라우드·KT클라우드를 비롯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사(CSP), 삼성SDS와 LG CNS 등 전문기술 지원기업, 대학과 관계기관을 포함한 80여개사가 참여함.
    3. 엄열 과기정통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스스로 플랫폼 경쟁력을 확보하지 않으면 결국은 다른 플랫폼에 종속될 수 밖에 없다”며 “현재 사용하는 인프라가 다르더라도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해 CSP, SaaS 기업, 수요자가 연결되는 '하나의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함.
  • (AI) 오픈AI, GPT-3 API 가격 최대 2/3까지 인하
    1. 인공지능(AI) 업체 오픈AI(OpenAI)가 거대언어모델)LLM) 서비스인 GPT-3 API(운영체제와 운영프로그램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언어나 메시지 형식) 가격을 크게 낮춤.
    2. 이번 가격인하 조치로 서비스 제공업체들의 비즈니스 모델에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됨.
    3. OpenAI API의 새로운 가격 책정은 이 시장에 변화가 일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줌.
    4. 예를 들어, 한 은행이 고객 서비스 챗봇에서 이전에 다빈치(Davinci, 가장 큰 GPT-3 모델)를 사용했다면, 회사 관련 데이터에서 더 작은 큐리(Curie) 또는 바베지(Babbage) 모델을 세부 조정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면 적은 비용으로 동일한 수준의 성능을 얻을 수 있음.
      *큐리는 2015년 1월에 CES에서 발표된 단추 크기의 x86 모듈. 저전력으로 32bit의 쿼크SE SoC와 384KB의 플래시 메모리와 80KB SRAM, 저전력 DSP 센서 Hub, Bluetooth LE, 6축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스코프, 배터리 충전 회로 등을 포함하고 있다.
      *바베지는 GPT-3 모델의 이전 버전으로 간단한 분류와 같은 간단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문서가 검색 쿼리와 얼마나 잘 일치하는지 시맨틱 검색 순위를 매기는 데 있어서도 능력이 있음.
  • (클라우드) Package software에서 SaaS cloud로의 전환
    1. 정 이사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CSP) 업체에서 기존 소프트웨어를 전환하는 방식을 ▲리프트&시프트 방식 ▲리프트&쉐이프 방식 ▲리팩터 방식 등 크게 3가지로 분류함.
    2. 리프트&시프트 방식은 기존 서버에 설치된 소프트웨어가 존재하는 서버 자원을 CSP 사업자의 컴퓨팅 사례와 1:1로 매핑해 이관하는 방식을 의미함.
    3. 정 이사는 "소프트웨어의 경우 OS나 IP와 같은 네트워크 환경이 바뀌는 경우 라이선스나 소프트웨어 설정 부분을 바꿔야하는 요소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사전에 체크해 전환 시 해당 부분을 같이 변경해야 한다"며 필요성을 설명함.
    4. 마지막으로 리팩터 방식은 기존 온프레미스 환경을 클라우드 환경에 맞도록 전면 새로 다시 구성해 진행하는 방법임.
    5. 정 이사는 "해당 방식이 클라우드 환경에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방식에 부합한다"고 부연함.

※ 참고문헌 Reference

Creative Commons LicenseOpen UP에 의해 작성된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
2022
공개검증 사이트 추천 가이드/보고서 -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수, 작성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수 작성
공지 [2025년] 기업 오픈소스검증 사이트 추천 거버넌스 가이드 개정판 file support 2789 2025-02-28
공지 [2025년] 공공 오픈소스메이저 놀이터 순위트 거버넌스 가이드 개정판 file support 2678 2025-02-28
공지 [2025년] 오픈소스검증 사이트 추천 라이선스 가이드 개정판 file support 3395 2025-02-28
공지 메이저 놀이터 추천 소프트웨어 연구개발(R&D) 실무 가이드라인 file support 31714 2022-07-28
공지 메이저 놀이터 순위트소프트웨어 연구개발 file OSS 28866 2018-04-26
437 [11월 월간브리핑] 오픈소스를 이용한 IOT 기술의 동향 support 4550 2022-11-28
436 [기획] 사물 인터넷 기술의 성장 동력 오픈소스 support 2962 2022-11-28
435 [기획기사] 오픈소스 기반 AI와 IOT 융합한 지능형 사물 인터넷 support 5011 2022-11-28
434 [10월 월간브리핑] 오픈소스 쿠버네티스를 통한 혁신과 미래 support 3016 2022-10-25
433 [기획] K8s 운영/관리 위한 대표 오픈소스 도구들과 활용 추세 support 6835 2022-10-25
432 [기획기사] 클라우드의 중심 컨테이너 그리고 오픈소스 쿠버네티스 support 3216 2022-10-25
431 [9월 월간브리핑] 클라우드를 통한 오픈소스 DBMS 혁신과 발전 support 4656 2022-09-27
430 [기획기사] 금융기업에서 오픈소스 DBMS 사용현황 support 7597 2022-09-27
429 [기획] 기업의 메이저 카지노DBMS 활용추세와 상용 DBMS 한계점 support 16724 2022-09-27
428 [8월 월간브리핑] 의료산업 혁신을 가속화하는 오픈소스AI support 3786 2022-08-30
맨 위로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