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사이버방 개방형 OS로 '하모니카' 낙점
6월 24일
ⓒ 지디넷코리아, 방은주 기자 / ejbang@zdnet.co.kr
코맥스가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사업 진행
관심을 모았던 국방부 사이버지식정보방(사지방) 사업의 개방형 운용체계(OS)로 '하모니카'가 낙점됐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국방부와 국방전산정보원이 발주한 240억원 규모 사이버지식정보방(사지방) PC 및 운용체계(OS) 교체 우선협상대상자로 코맥스가 선정됐다. 이 사업은 국방부가 윈도 대신 개방형 OS를 사용하기로 결정, 발주 전부터 업계 관심이 컸다.
코맥스는 하모니카를 개방형 OS로 채택해 사업을 제안,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하모니카는 옛 미래부와 한국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2013년 2억원을 투입해 만든 리눅스 기반 개방형 OS다. 인벤슘이 상표권을 갖고 있다.
개방형 OS는 마이크로소프트(MS) 윈도나 애플 맥 OS 같은 폐쇄형 OS와 달리 특정 기업에 종속되지 않은 OS다. 소스 코드(설계도)를 일반에 메이저 사이트 추천한다. '하모니카'와 '구름' OS가 대표적이다. 최근 티맥스오에스도 오픈소스 버전인 '티맥스OS 오픈에디션(OE)'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구름 OS는 과기정통부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산하 국가보안기술연구소가 개발한 개방형 OS로 보안성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는다. 한글과컴퓨터(한컴)가 개발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다.
업계는 보안에 강점이 있고 지명도가 더 높은 구름OS가 사지방의 개방형 OS가 될 것으로 점쳤지만, 애초 구름 OS는 제안조차 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사지방 사업에 참여한 두 기업 모두 구름 OS를 제안 OS로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모니카' OS는 세계 리눅스 배포판 다운로드 순위에서 상위권인 ‘리눅스 민트’ 17 마테(Mate) 버전을 기반으로 개발됐다. 기존 리눅스 민트 17 마테와 비교해 ▲기본 언어팩 포함 ▲폰트 적용 ▲시작버튼 및 메뉴 수정 등 국내 사용자가 설치 및 활용하기 쉽게 한글화 서비스를 강화하고 익숙한 UI를 적용했다. 한글 설정을 추가로 하지 않고 바로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하다.
상표권을 갖고 있는 인베슘에 따르면 현재 하모니카는 경찰청, 공공기관, 지자체, 학교 등 총 22곳에서 도입해 사용하고 있다. 누적 다운로드 수는 11만 7960건에 달한다.
한편 국방부는 애초 전체 5만대 사지방 PC 중 3만 5000대에 개방형 OS를 탑재할 방침이었지만 호환성 문제가 제기, 사업 규모를 2만5000대로 줄였다. 이중 절반은 기존 윈도로, 나머지 절반은 개방형 OS가 도입된다.
※ 본 내용은 (주)메가뉴스(http://www.zdnet.co.kr)의 저작권 동의에 의해 공유되고 있습니다.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번호 | 제목 | 조회수 | 작성 |
---|---|---|---|
8491 | 저작권 공유·활용 어떻게? '공유저작물·오픈소스 콘퍼런스' 열린다 | 4900 | 2019-06-26 |
8490 | 캐노니컬, ‘우분투 리눅스’ 차기버전 32비트 지원 중단 | 5031 | 2019-06-25 |
8489 | 카카오, 머신러닝 경연대회 ‘제2회 카카오 아레나’ 개최 | 4685 | 2019-06-24 |
8488 | 국방부 사이버방 개방형 OS로 '하모니카' 낙점 | 5411 | 2019-06-24 |
8487 | AI로봇 연구 플랫폼, 페이스북 파이로봇 오픈소스 개방 | 5266 | 2019-06-24 |
8486 | [주간 OSS 동향 리포트] 구글, 안전한 데이터 공유 및 분석 툴을 오픈소스로 풀어 | 11660 | 2019-06-21 |
8485 | 구글 스트리트 뷰와 머신러닝 학습 합쳐 도로 표지판 관리에 활용한 연구 프로젝트 | 5367 | 2019-06-21 |
8484 | 구글, 안전한 데이터 공유 및 분석 툴을 오픈소스로 풀어 | 5189 | 2019-06-21 |
8483 | 전국대학연합 해커톤 대회 익산서 개최 | 5201 | 2019-06-20 |
8482 | 브이시스템즈, 체인링크와 메인넷 향상 위해 협력 | 5440 | 2019-06-20 |
0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