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7년 6월 21일 (수)

ⓒ 디지털데일리, 최민지 cmj@ddaily.co.kr



메이저 카지노


21일 최준기 KT 빅데이터사업추진단 데이터 거버넌스담당 팀장은 미래창조과학부 주최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디지털데일리 공동주관으로 쉐라톤 서울 디큐브시티 호텔에서 열린 ‘오픈테크넷 서밋 2017’을 통해 KT의 빅데이터 추진방향에 대해 소개했다.


KT의 향후 신성장 전략은 ▲미디어 ▲금융 ▲기업 공공가치 ▲스마트 에너지 ▲재난안전 등이다. 이 근간에는 KT 인텔리전스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빅데이터가 자리하고 있다.


이와 관련 KT는 CDO(Chief Data Officer)를 만들었다. 그룹 내 데이터를 찾고 활용하는 것에 대해 책임지는 곳이다. 또한, KT는 빅데이터 자산,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를 통해 역량을 키우겠다는 계획이다.


KT는 개인정보를 침해하지 않으면서 적법하게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 위치정보와 큐레이션을 사업화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우선, 유동인구 플랫폼을 예로 들 수 있다. 통신사인 만큼 기지국을 통해 주재인구를 파악할 수 있으며, 전체 주재인구뿐 아니라 상주인구 및 비상주 인구를 구분한다. 유동 인구 중 도보이동으로 추정되는 인구도 파악 가능하다. 이는 관광 및 축제, 상권 분석에 활용할 수 있다.


특히, KT는 지역 특성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지자체 니즈에 부합하는 플랫폼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했다. 관광정보와 경쟁력을 분석하고 추천 및 예측 모델링을 지원할 수 있다. 비콘과 결합하면 관광객 맞춤형 관광코스를 추천하거나 프로모션을 제시하는 등의 활동도 가능하다.


또한, KT는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미래부·질병관리본부와 함께 빅데이터 플랫폼을 활용하고 있다. 오염국가 방문 또는 귀국 때 감염병 안내 문자가 전송되는 서비스는 현재 제공되고 있다.


최 팀장은 “최근에는 미세먼지와 관련해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도 빅데이터를 활용해 찾고 있다”며 “데이터로 판단을 하고 믿고 끌고 나갈 수 있어야 하며,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하면 공급자 마인드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 본 내용은 (주)디지털데일리(http://www.ddaily.co.kr)의 저작권 동의에 의해 공유되고 있습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문출처 :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57289]

맨 위로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