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투더퓨처-AI] AI 인재 미국의 76% 수준... 韓 기업들 '고군분투'
1월 1일
ⓒ아주경제, 강일용기자 |zero@ajunews.com
100만 AI 인재 수요...글로벌 인재 확보 전쟁 시작
AI 인재육성 골든타임 놓치면 국가경쟁력 상실 우려... 즉각적인 AI 원천기술 교육 필요
AI는 국가와 기업의 미래 핵심 성장동력이다. 지난해 10월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의 조사에 따르면, 현재 국가별로 AI 핵심인재 간 수준차이가 명백히 존재한다.
삼성전자, 네이버 등 국내 기업들은 전 세계 AI 시장 경쟁에서 뒤쳐지지 않기 위해 전사 차원에서 인재 확보와 기술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AI 업계에선 한국 기업의 기술 수준이 미국 IT 공룡들의 바로 밑까지 육박한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 AI 기업들과 비교하면 소프트웨어(SW)에선 큰 차이가 없고, 의외로 지능형 반도체와 같은 AI 하드웨어(HW)에서 상당한 차이가 난다고 분석했다.
AI 소프트웨어 기술은 기업 사내에서만 활용하는 단계와 개발자만 이용할 수 있게 오픈소스와 API 형태로 메이저 놀이터 순위트히는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형태로 메이저 놀이터 순위트하는 단계에 도달한다. AI 업계 리더인 구글은 재작년 서비스 단계에 도달했고,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마존은 작년 서비스 단계에 도달했다. 네이버는 AI 기술을 오픈소스와 API로 메이저 놀이터 순위트할 수 있는 단계이며, 삼성전자 역시 기술의 외부 메이저 놀이터 순위트를 하고 있지는 않지만 충분히 메이저 놀이터 순위트를 진행할 수 있는 역량을 갖췄다는 평가다.
(후략)
번호 | 제목 | 조회수 | 작성 |
---|---|---|---|
8801 | “AWS가 오픈소스를 이용만 한다 주장에 동의할 수 없다” | 5532 | 2020-01-16 |
8800 | 큐브리드, 오픈소스 DBMS 신제품 출시 | 5367 | 2020-01-16 |
8799 | 컨테이너, M&A, 미-중 관계로 본 '2020년 오픈소스 전망' | 5986 | 2020-01-16 |
8798 | SK㈜ C&C, 메트라이프생명 EOS 완료..기대 효과는? | 5513 | 2020-01-02 |
8797 | [특별기획/Cloud Impact 2020①] 막오른 클라우드 빅뱅…국민은행의 선택 | 5868 | 2020-01-02 |
8796 | 의료 인공지능(AI), 영상분석에서 음성인식으로 '진화' | 6298 | 2020-01-02 |
8795 | [인투더퓨처-AI] AI 인재 미국의 76% 수준... 韓 기업들 '고군분투' | 5769 | 2020-01-02 |
8794 | 2020년대 인공지능 기술 동향 예측 | 6077 | 2019-12-30 |
8793 | NIPA ICT CEO포럼, AI부터 VR까지 전 산업 아울러 조망...산업 소통 핵심창구로 부상 | 5357 | 2019-12-30 |
8792 | '리니지2M' 흥행 이끈 숨은 공신, 엔씨소프트 I&O 센터 | 5591 | 2019-12-30 |
0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