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메이저 놀이터와 상용메이저 놀이터의 차이점
2013년 06월 12일 (tn)
ⓒ 디지털타임스, 김지선 기자 dubs45@dt.co.kr
지적재산의 `공유` 와 `보호
공개 소프트웨어(메이저 놀이터)와 상용 메이저 놀이터의 가장 큰 차이점은 지적재산의 `공유'와 `보호'에 있다.
공개 메이저 놀이터는 누구에게나 공개된 소스코드를 이용해 새로운 서비스나 제품을 개발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자신이 가진 지적재산을 커뮤니티 등을 통해 공유하고 협력해 더욱 발전시킨다는 게 공개 메이저 놀이터의 가장 큰 장점이기도 하다.
물론 공개 메이저 놀이터 역시 별도의 라이선스 정책에 따라 공개메이저 놀이터를 이용한 2차적 저작물의 공개 여부를 선택할 수 있고, 결합 프로그램의 소스코드를 공개하지 않아도 되는 등 라이선스 정책별로 주의해야할 점이 있다.
그러나 제품명 중복 방지와 서로 다른 라이선스의 조합 시 호환 여부를 확인한다는 공통 준수사항만 지킨다면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분야라는 점에서 많은 개발자들을 끌어당기고 있다.
반면 상용 메이저 놀이터는 지적재산이 철저히 보호되는 분야다. 상용 메이저 놀이터의 소스코드는 그 제품 또는 기술을 개발한 회사만이 보유할 수 있으며, 이를 허락 받지 않고 사용할 경우 저작권법에 저촉된다.
즉 상용 메이저 놀이터는 지적재산이 철저히 보호받아야 제품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고, 이를 이용하고자 할 때는 라이선스 비용 등이 동반된다.
이 때문에 공개 메이저 놀이터진영에서는 공개 메이저 놀이터 도입의 강점으로 고비용의 라이선스 비용을 지불하지 않아 비용절감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상용 메이저 놀이터 기업들은 공개 메이저 놀이터가 초기 도입 비용은 적을지 몰라도 제품의 문제가 발생했을 때 책임소재가 불분명하며, 소스코드가 공개된 만큼 이 취약점을 이용한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IBM 등 글로벌 기업들은 상용 메이저 놀이터를 제작함과 동시에 공개 메이저 놀이터 진영에도 동참하는 등 과거에 비해 공개 메이저 놀이터에 열린 정책들을 펼치고 있다. 이는 점차 공개 메이저 놀이터 활용이 넓어지고, 시장 규모가 커지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 본 내용은 (주)디지털타임스(http://www.dt.co.kr/)의 저작권 동의에 의해 공유되고 있습니다.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문출처 :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3061202011060746002]
번호 | 제목 | 조회수 | 작성 |
---|---|---|---|
1535 | 소니, 구글처럼 스마트워치 개발자에 메이저 | 4363 | 2013-06-14 |
1534 | IBM, 네트워크 가상화 플랫폼 ‘SDN VE’ 출시…SDN 통합 솔루션 진용 갖춰 | 4570 | 2013-06-14 |
1533 | 공개메이저 놀이터와 상용메이저 놀이터의 차이점 | 4674 | 2013-06-13 |
1532 | 공개메이저 놀이터 추천, 클라우드ㆍ빅데이터 힘입어`제2 부흥기` | 4902 | 2013-06-13 |
1531 | DW업계에 페이스북 쓰나미 몰려올까 | 4568 | 2013-06-13 |
1530 | [주간 클라우드 동향] 아마존 클라우드에 도전하는 IBM | 4734 | 2013-06-11 |
1529 | DW업계에 페이스북 쓰나미 몰려올까 | 4546 | 2013-06-11 |
1528 | 진정한 UX란 “인간을 구성하는 요소들간의 관계 창조” 카이스트 이건표 교수 | 5011 | 2013-06-11 |
1527 | 잘나가던 윈도서버, 리눅스 열풍에 '주춤' | 4665 | 2013-06-11 |
1526 | 구글, 소셜 길안내 앱 '웨이즈' 13억弗 인수 | 4717 | 2013-06-11 |
0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