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월 4주의 국내외 메이저 놀이터 추천SW 관련 동향을 모아 정리하였습니다.
자세한 기사 내용은 아래 기사 내용 중 굵게 표시된 제목을 클릭하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듀크대학교 연구진은 비전문가도 간단한 텍스트만으로 4족 보행 로봇을 설계하고 제작할 수 있는 생성 AI 프레임워크 ‘텍스트2로봇(Text2Robot)’에 관한 논문을 온라인 아카이브에 게재했습니다. 자연어로 입력한 명령어를 실제 작동 가능한 로봇으로 자동 설계해주는 인공지능(AI) 기술이 등장한 것입니다.

텍스트2로봇은 실제 제작이 가능한 구조를 만들기 위해서는 다양한 설계 방식을 검토하고 복잡한 변수들을 고려해야 했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사용자는 단순히 문장만 입력하면 이후 모든 과정은 AI가 자동으로 수행합니다.LLM을 기반으로 입력된 자연어를 분석, 이를 3D 형태로 시각화하는 텍스트-투-3D 생성 모듈로 초기 구조를 만드는데 로봇의 관절 가동 범위, 센서 및 액추에이터 배치, 무게 중심, 3D 프린터로의 출력 가능성 등 현실적인 제약 조건이 반영됩니다.

생성된 가상 모델은 시뮬레이션 환경으로 옮겨져 걷기와 회전 등 동작 능력을 테스트를 하고 로봇의 물리 구조와 제어 소프트웨어를 동시에 최적화한 결과 실제 지형에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몇분 만에 로봇의 초기 모델이 생성되며 한시간 안에 시뮬레이션에서 걷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하루도 채 되지 않아 실제 조립된 로봇이 사용자의 책상 위에서 움직이게 된다는 것이 연구진의 설명입니다.

현재 텍스트2로봇의 코드는 오픈소스로 깃허브에 메이저 놀이터 추천돼 있으며, 로봇 메시를 생성, 시뮬레이션 및 개선하기 위한 도구와 문서가 포함되어있습니다. 이 저장소는 Apache 라이선스 2.0에 따라 배포됩니다.


[참고기사]

허깅페이스, 오픈 소스 AI 로봇 출시 위해 휴머노이드 스타트업 인수(AI타임스)
허깅페이스가 프랑스의 휴머노이드 로봇 하드웨어 기업을 인수했다. 이를 통해 로봇 인공지능(AI) 기술 개발을 앞당기고, 오픈 소스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와이어드는 14일(현지시간) 허깅페이스가 휴머노이드 로봇 스타트업 폴렌 로보틱스를 인수했다고 보도했다.
폴렌은 가정용 휴머노이드 로봇 ‘리치 2(Reachy 2)’를 개발했으며, 인공지능(AI)과 로보틱스 분야의 다양한 기업에 100대 이상을 납품했다. 여기에는 허깅페이스를 비롯해 액센츄어, 프랑스 원자력청(CEA),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 에코 폴리테크닉, 코넬대학교, 카네기멜론대학교 등이 포함된다.

대기업 10곳 중 7곳, 지난해 오픈소스 사용 늘려…“경제 악화 영향”(전자신문)
대기업 10곳 중 7곳이 지난해 오픈소스 소프트웨어(OSS) 사용을 늘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제 악화 등에 대응하기 위해 라이선스 비용 없이 사용할 수 있는 OSS를 선택했다는 분석이다.
글로벌 협업 플랫폼 기업 퍼포스 소프트웨어는 최근 이클립스 파운데이션, 오픈소스 이니셔티브와 공동 작성한 '2025년 오픈소스 현황 보고서'에서 이같이 설명했다. 이들은 지난해 9~12월 4달간 조직에서 OSS를 사용하는 기업·정부 직원 4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 Open UP -

맨 위로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