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테크넷2013] 아리스타 “SDCN으로 오픈스택 구현 가능”
메이저 놀이터 순위트SW 포털
게시글 작성 시각 2013-10-31 16:30:35
2013년 10월 30일 (수)
ⓒ 디지털데일리, 이민형 기자 kiku@ddaily.co.kr
“소프트웨어정의클라우드네트워킹(SDCN)을 사용하면 자동화, 셀프 서비스 프로비져닝, SDN, 사용자 정의 프로그래밍 등을 포함한 오픈스택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30일 미래창조과학부가 주최하고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과 디지털데일리가 공동 주관한 '오픈테크넷 서밋 2013 가을'에서 김창민 아리스타네트웍스코리아 부장<사진은 SDCN의 가능성을 높게 점쳤다.
아리스타는 오픈스택을 구현하는데 있어 SDCN을 방점으로 찍었다. SDCN은 클라우드 컴퓨팅 구현을 위한 아리스타만의 독자적인 플랫폼이다.
김 부장은 “오픈스택은 네트워크와 시스템 관리자의 통제를 통해 사내 인프라의 관리와 프로비져닝, 서비스 전달 등 기업의 네트워크 가치를 높일 수 있으며, SDCN은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최고의 플랫폼”이라고 강조했다.
SDCN 플랫폼에는 아리스타의 자체적인 운영체제 EOS가 올라간다. EOS는 아리스타 SDCN 운영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다.
EOS는 네트워크와 SDN 콘트롤러를 클라우드 규모 계층의 2/3 네트워킹 사이에서 오픈 콘트롤러 API와 커뮤니케이션을 하는데 필요한 기초 역할을 수행한다.
가상화 및 물리적 네트워크는 서로 공존해야 하며 상호 배타적이지 않아야 한다. 아리스타 플랫폼은 다양한 작업이 가능한 능력을 통해 모든 포트에서 동시에 와이어 레이트 전송 하에서 세밀한 네트워크 트래픽 흐름 제어가 가능하다.
또 아리스타의 EOS 소프트웨어는 중앙 컨트롤러와 EOS 시스템 데이터 베이스를 통한 스위치 콘트롤 플레인 프로그래밍과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모든 컨트롤러 기반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부분을 호스팅 할 수 있다.
김 부장은 가상확장근거리네트워크(VXLAN)의 효용성도 설명했다. 그는 “VXLAN을 채택하면 기존 MPLS, VPLS, EoMPLS, 다크파이버 기술 기반의 IP 이동방식에서 겪었던 많은 터널 관리 이슈는 물론 APR 테이블, MAC 플루딩 이슈들을 해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김 부장은 ‘무어의 법칙’을 언급하며 스위치의 성능도 향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트래픽이 증가함에 따라 이를 처리하는 CPU와 스위치도 발전하고 있다”며 “하지만 에이직(ASIC) 기반의 아키텍처는 한계가 있다. 아리스타는 풀 커스텀 상용칩 기반의 스위치를 만들어 고객들에게 제공한다”고 말했다.

아리스타는 오픈스택을 구현하는데 있어 SDCN을 방점으로 찍었다. SDCN은 클라우드 컴퓨팅 구현을 위한 아리스타만의 독자적인 플랫폼이다.
김 부장은 “오픈스택은 네트워크와 시스템 관리자의 통제를 통해 사내 인프라의 관리와 프로비져닝, 서비스 전달 등 기업의 네트워크 가치를 높일 수 있으며, SDCN은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최고의 플랫폼”이라고 강조했다.
SDCN 플랫폼에는 아리스타의 자체적인 운영체제 EOS가 올라간다. EOS는 아리스타 SDCN 운영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다.
EOS는 네트워크와 SDN 콘트롤러를 클라우드 규모 계층의 2/3 네트워킹 사이에서 오픈 콘트롤러 API와 커뮤니케이션을 하는데 필요한 기초 역할을 수행한다.
가상화 및 물리적 네트워크는 서로 공존해야 하며 상호 배타적이지 않아야 한다. 아리스타 플랫폼은 다양한 작업이 가능한 능력을 통해 모든 포트에서 동시에 와이어 레이트 전송 하에서 세밀한 네트워크 트래픽 흐름 제어가 가능하다.
또 아리스타의 EOS 소프트웨어는 중앙 컨트롤러와 EOS 시스템 데이터 베이스를 통한 스위치 콘트롤 플레인 프로그래밍과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모든 컨트롤러 기반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부분을 호스팅 할 수 있다.
김 부장은 가상확장근거리네트워크(VXLAN)의 효용성도 설명했다. 그는 “VXLAN을 채택하면 기존 MPLS, VPLS, EoMPLS, 다크파이버 기술 기반의 IP 이동방식에서 겪었던 많은 터널 관리 이슈는 물론 APR 테이블, MAC 플루딩 이슈들을 해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김 부장은 ‘무어의 법칙’을 언급하며 스위치의 성능도 향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트래픽이 증가함에 따라 이를 처리하는 CPU와 스위치도 발전하고 있다”며 “하지만 에이직(ASIC) 기반의 아키텍처는 한계가 있다. 아리스타는 풀 커스텀 상용칩 기반의 스위치를 만들어 고객들에게 제공한다”고 말했다.
※ 본 내용은 (주)디지털데일리(http://www.ddaily.co.kr)의 저작권 동의에 의해 공유되고 있습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문출처 : http://www.ddaily.co.kr/news/news_view.php?uid=110451]
번호 | 제목 | 조회수 | 작성 |
---|---|---|---|
2229 | 데니스 홍 "무엇이든 가능하다는 전제에서 시작하세요" | 4846 | 2013-10-31 |
2228 | 오픈소스를 넘어서...개발자의 재능기부 | 4760 | 2013-10-31 |
2227 | [오픈테크넷 2013] 네이버 163개 서비스, 큐브리드 DB로 전환 | 3892 | 2013-10-31 |
2226 | [오픈테크넷 2013] ‘소프트웨어 정의 인프라’로의 변신 필요 | 4385 | 2013-10-31 |
2225 | [오픈테크넷2013] “SDN 활용으로 네트워크 최적화·UX 강화 가능” | 4089 | 2013-10-31 |
2224 | [오픈테크넷2013] “이제 IT산업의 중심은 벤더 아닌 오픈소스” | 4500 | 2013-10-31 |
2223 | [오픈테크넷2013] 마이SQL에 지속적 투자…연간 최대 4차례 새 버전 출시 | 4305 | 2013-10-31 |
2222 | [오픈테크넷2013] 아리스타 “SDCN으로 오픈스택 구현 가능” | 4423 | 2013-10-31 |
2221 | [오픈테크넷 2013] IBM “네트워크 장비서 SDN 기본 지원” | 4081 | 2013-10-31 |
2220 | [오픈테크넷 2013] 오픈플로우코리아 “SDN 도입 전 충분한 검토 필요” | 5117 | 2013-10-31 |
0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