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야생동물 보호에도 사용된다
2018년 7월 4일
ⓒ 지디넷코리아, 이정현 미디어연구소
인공지능 기술이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동물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사람들은 현재 페이스북을 통해 가족이나 지인들과 연결되어 있고 이를 통해 그들의 안부나 상태를 체크하기도 한다. 이제는 동물을 위한 일종의 페이스북 같은 서비스가 생겼다. 이 서비스는 야생 동물 연구자와 자연보호 운동가가 멸종 위기에 처해진 동물을 감시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IT매체 씨넷은 동물 사진들을 수집해 인공지능 기술로 이를 분석하고, 보호가 필요한 동물들의 상태를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와이드북을 3일(현지시간) 소개했다.
와이드북은 사람들이 올린 동물 사진들을 인공지능 기술로 분석해 동물 보호 연구에 쓰일 수 있도록 해 준다. (사진=씨넷)
와일드북은 비영리단체인 와일드 미(Wild Me)가 만든 웹사이트로, 사람들이 촬영한 야생동물 사진을 수집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와이드북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와 AI 기술을 사용해 사람들이 페이스북 등의 SNS에 업로드 한 동물 사진들을 수집 할 뿐 아니라 유튜브, 플리커의 동영상과 사진들을 검색해 동물 연구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와이드북은 머신러닝 기술을 통해 서로 다른 사진으로부터 동일한 동물을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구진들은 특정 동물의 건강, 식습관, 사냥 패턴, 개체 수, 야생 동물 밀렵 행위에 대해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사람들이 동물 사진을 업로드 할 때 동물의 성별이나 대략적인 나이, 위치, 주변의 다른 동물 등의 추가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때문에 각각의 동물들은 사람처럼 각자의 프로필을 얻을 수 있고, 연구진들은 보호가 필요한 특정 동물에 선택해 연구할 수 있다.
와이드미는 와일드북 외에도 고래, 돌고래 등 해양 생물을 관찰하기 위한 플루크북(Flukebook)이라는 사이트도 운영하고 있다.
※ 본 내용은 (주)메가뉴스(http://www.zdnet.co.kr)의 저작권 동의에 의해 공유되고 있습니다.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문출처 :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704093449]
번호 | 제목 | 조회수 | 작성 |
---|---|---|---|
7895 | 틸론, 신 전자문서 유통체계 시스템 고도화 사업자 선정 | 6292 | 2018-07-05 |
7894 | AI, 야생동물 보호에도 사용된다 file | 6405 | 2018-07-04 |
7893 | [주간 OSS 동향 리포트] 한국, ‘텐서플로’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국가 중 하나 | 6504 | 2018-07-03 |
7892 | 리눅스업체 수세, 스웨덴 사모펀드에 팔려 file | 5928 | 2018-07-03 |
7891 | AI 연구 활성화 위한 ‘딥러닝 캠프 제주 2018’ 개최 | 5675 | 2018-07-03 |
7890 | "똑똑한 오픈소스 활용"…보안제품·무기체계까지 매뉴얼 - 메이저 카지노 | 6142 | 2018-07-03 |
7889 | "메이저 사이트 추천SW의 힘...구글 '텐서플로' 독자개발 했으면 405년 걸려" file | 5512 | 2018-07-02 |
7888 | “카이스트에서도 AI 프로젝트 비중은 5%뿐” | 5731 | 2018-06-29 |
7887 | [해외소식] Google, Linux Foundation의 Platinum Member로 전환.. 오픈 소스 커뮤니티에 기여 | 6303 | 2018-06-29 |
7886 | NIA, 공공용 개방형 클라우드 '파스-타' 오픈소스 세미나 | 5456 | 2018-06-28 |
0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