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메이저 사이트 순위 20년” 11장으로 보는 세상을 바꾼 역사
2018년 02월 06일 (화)
ⓒ ITWorld, Simon Phipps | InfoWorld
넷스케이프 내비게이터와 모질라 출범
1998년, 넷스케이프는 넷스케이프 내비게이터의 개방형 개발을 스스로 주도하지 않고 흘러가는 대로 내버려뒀다. 이것이 모질라 프로젝트로 이어졌다. 이념적인 접근보다는 실용적인 목적이 있다면 많은 기업이 자유 소프트웨어를 도입한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Credit: Indolering(CC0)
오픈메이저 사이트 순위라는 용어의 등장
‘오픈메이저 사이트 순위’라는 용어가 처음 소프트웨어에 적용된 것은 1998년 2월 3일 미국 캘리포니아 마운틴 뷰의 VA 리눅스 시스템즈 사무실에서 열린 전략 회의에서였다. 오픈메이저 사이트 순위라는 용어 자체는 포어인사이트 인스티튜트(Foresight Institute)의 사장 크리스틴 페터슨이 만들었다. 포어인사이트는 나노기술에 중점을 둔 씽크탱크 조직이었다. Credit: Foresight Institute
OSI의 통제와 관리
OSI는 1998년 2월말 새로 등장한 오픈메이저 사이트 순위의 집사 역할을 위해 설립됐다. 에릭 레이몬드가 초대 사장을 맡았고, 브루스 페렌스는 부사장을, 그리고 초대 이사회에는 브라이언 베렌도르프, 이안 머독, 러스 넬슨, 칩 살젠버그가 참여했다. OSI 로고는 콜린 비브록이 만들었는데, O는 개방성을, 열쇠구멍은 메이저 사이트 순위코드의 잠금 해제를 암시한다. Credit: Open Source Initiative
오픈메이저 사이트 순위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의 탄생
1999년 데비안 프리 소프트웨어 지침(Debian Free Software Guideline)의 작성자인 브루스 페렌스는 이 지침을 소프트웨어 라이선스가 어떻게 오픈메이저 사이트 순위로 인식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객관적인 정의로 개작했다. 바로 OSD(Open Source Definition)이다. Credit: wwward(CC BY 2.0)
오픈메이저 사이트 순위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의 탄생
1999년 데비안 프리 소프트웨어 지침(Debian Free Software Guideline)의 작성자인 브루스 페렌스는 이 지침을 소프트웨어 라이선스가 어떻게 오픈메이저 사이트 순위로 인식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객관적인 정의로 개작했다. 바로 OSD(Open Source Definition)이다. Credit: wwward(CC BY 2.0)
오픈메이저 사이트 순위 라이선스의 과잉 증식
2000년대 중반, 오픈메이저 사이트 순위에 대한 인기가 높아지면서 라이선스의 무분별한 확산이 문제가 됐다. 2004~2006년 기간에 OSI는 이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공공 의견 수렴 과정을 진행했다. Credit: IDG
자바의 오픈메이저 사이트 순위화, 새로운 주류 시대 개막
2004년 리처드 스톨만이 ‘자바의 함정’이란 글을 통해 그 사악함을 지적했지만, 자바 플랫폼은 2006년 오픈메이저 사이트 순위화됐다. Credit: Simon Phipps
OSI 산하 단체의 등장
2000년대 말 너무나 많은 오픈메이저 사이트 순위 비영리단체가 생겨나자 OSI는 산하 단체 모델로 전환하고 개인 회원제도도 도입해 새로운 이니셔티브를 가능하게 했다. Credit: Simon Phipps
마이크로소프트와 오픈메이저 사이트 순위의 대립 중단
새로운 경영진과 클라우드 솔루션 구축에서 오픈메이저 사이트 순위를 피할 수 없게 된 마이크로소프트는 오픈메이저 사이트 순위에 대한 공개적인 적대감 표현을 중단했다. 물론 마이크로소프트는 임베디드 리눅스에 대한 특허 소송은 계속하고 있다. Credit: Simon Phipps
빅스택 오픈메이저 사이트 순위가 표준
지금은 빅스택(Big Stack) 오픈메이저 사이트 순위의 시대다. 모든 클라우드 플랫폼의 모든 구성요소를 추적해 보면, 오픈메이저 사이트 순위의 기부나 컨소시엄에서 나온 것이다. Credit: Simon Phipps
오픈메이저 사이트 순위 20주년
오늘날 새로운 이니셔티브는 바로 오픈메이저 사이트 순위로 간다. 오픈메이저 사이트 순위는 20년만에 위협에서 기회로, 암적인 존재에서 기념비적인 존재로, 파생 기술에서 혁신으로 바뀌었다. Credit: Patrick Masson
※ 본 내용은 한국IDG(주)(http://www.itworld.co.kr)의 저작권 동의에 의해 공유되고 있습니다.
Copyright ⓒITWORLD.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문출처 : http://www.itworld.co.kr/slideshow/108114]
번호 | 제목 | 조회수 | 작성 |
---|---|---|---|
7735 | “오픈메이저 놀이터 순위트 20년” 11장으로 보는 세상을 바꾼 역사 | 6377 | 2018-02-08 |
7734 | 레드햇, 코어OS 인수.. 오픈소스 유연성 강화 - 메이저 카지노SW | 5025 | 2018-02-02 |
7733 | 공개메이저 놀이터, 잘 쓰려면 라이선스부터 | 5688 | 2018-02-01 |
7732 | [팩트체크]메이저 카지노SW는 성능·보안성 떨어진다? | 5263 | 2018-01-31 |
7731 | 보안업계가 오픈소스 환경에 주목하는 이유 - 메이저 카지노 | 5469 | 2018-01-31 |
7730 | 삼성전자, 글로벌 오픈메이저 사이트 순위 프로젝트 참여 확대...'IoT·AI' 개방형 생태계 강화 | 5346 | 2018-01-29 |
7729 | “제품 메이저 놀이터·수익 절반은 커뮤니티에”…‘오픈소스 컨설팅’의 착한 상생 - 메이저 | 6562 | 2018-01-25 |
7728 | 페이스북, 이미지인식기술 오픈메이저 사이트 순위로 공개 | 6571 | 2018-01-25 |
7727 | SKT, 오픈소스 기반 5G 서비스 설계도 주도한다 - 메이저 사이트 | 5349 | 2018-01-24 |
7726 | '클라우드·머신러닝 품었다' 주목해야 할 오픈메이저 사이트 순위 업체 13선 | 6887 | 2018-01-23 |
0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