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차 | 파트명 |
|---|---|
| 1 | 전지 역사 |
| 리튬이온전지 역사 | |
| 리튬이온전지 자원 및 산업 정책 | |
| 리튬이온전지 산업Ⅰ | |
| 리튬이온전지 산업Ⅱ | |
| 실험 | |
| 2 | 에너지의 정의 |
| 전기 에너지Ⅰ | |
| 전기 에너지Ⅱ | |
| 원자와 전자 | |
| 화학결합 | |
| 산화환원 | |
| 금속결합 | |
| 3 | 결정구조의 개념Ⅰ |
| 결정구조의 개념Ⅱ | |
| LCOⅠ | |
| LCOⅡ | |
| NCMⅠ | |
| NCMⅡ | |
| LFP | |
| LMO | |
| 4 | 음극재란 |
| 흑연계 음극재 | |
| 실리콘Ⅰ | |
| 실리콘Ⅱ | |
| LTO | |
| Li metal | |
| 5 | 분리막 역할 및 종류Ⅰ |
| 분리막 역할 및 종류Ⅱ | |
| 좋은 분리막의 조건 | |
| 습식 분리막 | |
| 건식 분리막Ⅰ | |
| 건식 분리막Ⅱ | |
| 세라믹 분리막 | |
| 6 | 전해질이란Ⅰ |
| 전해질이란Ⅱ | |
| 액체 전해질 | |
| 고체 고분자 전해질Ⅰ | |
| 고체 고분자 전해질Ⅱ | |
| 갤 고분자 전해질 | |
| 수계, 이온성 액체 전해질 | |
| 7 | 전지의 소개 |
| 전지의 분류 | |
| 일차전지와 이차전지 | |
| 납축전지의 특성 |
|
| 알칼리축전지의 특성 |
|
| 온라인 중간고사 | |
| 8 | 리튬이온전지 Overview |
| 리튬이온전지 분류 | |
| 리튬이온전지 특성 | |
| 리튬이온전지 개발 | |
| 전지 4대 구성요소 | |
| 9 | 양극소재 |
| 양극소재의 화학적 구성 | |
| 양극 재료별 특성과 개선 | |
| 리튬이온배터리 메커니즘 | |
| 리튬 금속 양극 | |
| 10 | 분리막 |
| 분리막 특성 | |
| 전해액 | |
| 전해액 특성 | |
| 전지 성능 평가 | |
| ESS 기업 TOUR | |
| 11 | 차세대 전지의 필요성 |
| 전고체 전지 | |
| 황화물계/비황화물계 | |
| 고체폴리머 | |
| 최신 전고체 전지 연구 | |
| 12 | 레독스 플로우 배터리 |
| 바나듐 레독스 플로우 배터리 | |
| 전기자동차 활용 | |
| 리튬-황 전지 | |
| 공기 전지 | |
| 13 | 스마트 그리드 기술 개요 |
| 마이크로 그리드 기술 | |
| 지능형 전력계량 인프라 | |
| 에너지 관리 시스템 | |
| ESS 전력 변환 시스템 | |
| 현업 연구자 : Interview | |
| 온라인 기말고사 | |
-
알기 쉬운 이차전지 이야기 진행중 이수증
-
알기 쉬운 이차전지 이야기
참여기관 목록
강좌소개
WELCOME :)
알기 쉬운 이차전지 이야기 강좌에 오신 여러분들을 환영합니다.
본 강좌는 글로벌 에너지 문제와 신재생에너지 기술의 다양한 이론적 배경과 기초지식을 제공합니다.
에너지 관련 정책과 산업변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 에너지 신산업에 대한 기본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며 신재생 에너지와 이와 연계된 전력 평준화용,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저장 개념을 이해하여 전기화학적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관련 전문가, 협업 종사자, 전공자 뿐만 아니라 이차전지의 전반적인 이해를 교양수준에서 얻기 원하시는 관심자 분들에게도 큰 유익이 있을 것입니다.
SYLLABUS
미리보기
강좌운영진
-
박민준 교수부산대학교 나노에너지공학과 조교수
2012 한양대 지구환경시스템공학 학사
2017 UNIST 에너지공학과 박사 -
윤지윤 튜터
강좌운영튜터(학습문의 담당)
부산대학교 나노에너지공학과 -
부산대학교 에듀테크센터
부산대학교 메이저 사이트 운영 전담부서 (T. 051-510-3843 / E-mail : pnu메이저 사이트@pusan.ac.kr )
자주묻는질문
Q 이수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A 총 60점 이상 획득 시 이수가능합니다. (배분: 퀴즈 40%, 중간고사 30%, 기말고사 30%)
Q 이수증은 어떻게 발급되나요?
A 강좌종료 일시(2025년 12월 12일 23시 59분) 전에 주차별 퀴즈와 온라인 중간고사·기말고사에 응시하여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의 점수를 취득하면 이수증을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강의가 종료되기 전에 이수 조건을 충족한다면 이수증을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Q 강의를 듣고 있었는데 ‘수강중인 강좌’ 목록에서 듣던 강의가 사라졌어요.
A 이수요건을 충족하거나 강의 운영 기간(2025년 12월 12일 23시 59분) 이후로는 수강 중이던 강의는 [내 강의실] - [종료한 강좌 수] 탭을 클릭하면 강의실 썸네일을 확인할 수 있고, 썸네일을 클릭하면 강의실에 입장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