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트레스에 대해 알 수 있다.
- 스트레스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방법에 대해 알 수 있다.
- 마음챙김의 개념, 방법, 효과(생리적효과, 심리적 효과 등)를 알 수 있다.
- 마음챙김 기반 스트레스 감소 훈련(MBSR)을 알고 적용할 수 있다.
- 변증법적 행동치료(DBT)를 알고 적용할 수 있다.
- 수용전념치료(ACT)를 알고 적용할 수 있다.
-
마음챙김으로 스트레스 다스리기 진행중 이수증
-
마음챙김으로 스트레스 다스리기
참여기관 목록
강좌소개

본 강좌에서는 첫째, 일상(학교, 직장, 가정, 친구관계 등 )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스트레스에 대해 알아보고,
둘째, 최근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방법과 상담 및 심리치료, 정신건강분야에서 제 3세력으로 등장한 마음챙김(명상, Mindfulness)에 대해 알아보고,
셋째, 마음챙김을 적용한 대표적인 건강관리 및 심리치료방법인 MBSR, DBT, ACT에 대해 알아보고 각자에게 적용해본다.

- 분 야: 인문과학(심리상담・심리치료)
- 수강대상: 심리상담, 심리치료, 스트레스관리, 마음챙김, 명상에 관심있는 모든 학습자
- 학습시간: 총 13주 39차시 구성
- 이수기준: 평가기준 60% 이상 / 심리평가 4회[중간고사(8주), 기말고사(15주), 학습전 평가(1주,11주)
- 교재 및 참고문헌:
김재성, 마음챙김과 심리치료, 학지사, 2014
안희영, 마음챙김에 근거한 심리치료, 학지사, 2009
정애자, MBSR, 마음챙김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프로그램, 2015
조용범, DBT다이어렉티컬 행동치료 워크북, 2017
이선영, 꼭 알고 싶은 수용-전념치료의 모든 것, 2017
문현미, 민병배, 마음에서 빠져나와 삶속으로 들어가라, 2010
손정락, 이금단, 수용전념치료 실무지침서, 2015

주차 | 주차명(주제) | 차시 | 차시명 |
1 | 스트레스의 개념과 요인 | 1-1 | 교과목 안내, 정신건강문제의 현황 |
1-2 | 스트레스란 | ||
1-3 | 스트레스의 요인 | ||
2 | 스트레스 대처방식 마음챙김 소개 | 2-1 | 스트레스 대처방식 |
2-2 | 마음챙김의 개념 | ||
2-3 | 마음챙김의 특징 | ||
3 |
마음챙김의 효과
| 3-1 | 명상이란 무엇인가? |
3-2 | 명상의 생리학적 효과 | ||
3-3 | 명상의 심리/신체적 효과 | ||
4 | 마음챙김 기반 심리치료 | 4-1 | 마음챙김기반 스트레스 감소훈련 |
4-2 | 변증법적 행동치료 | ||
4-3 | 수용전념치료 | ||
5 | MBSR의 이론 및 실습1 | 5-1 | MBSR안내, 호흡명상 |
5-2 | 걷기명상 | ||
5-3 | 먹기명상 | ||
6 | MBSR의 이론 및 실습2 | 6-1 | 일상에서 행위알아차림 |
6-2 | 몸과친해지기.바디스캔 | ||
6-3 | 몸에대한마음챙김.정좌명상 | ||
7 | MBSR의 이론 및 실습3 | 7-1 | 정좌명상(2)-감정에 대한 알아차림 |
7-2 | 정좌명상(2)-생각에 대한 알아차림 | ||
7-3 | 선택없는 알아차림. 일상에서의 마음챙김 | ||
8 | 중간평가 | - | |
9 | 변증법적 행동치료(DBT)의 이론 및 실습1 | 9-1 | DBT 소개 |
9-2 | 마음챙김기술(1) | ||
9-3 | 마음챙김기술(2)와 호흡마음챙김 실습 | ||
10 | 변증법적 행동치료(DBT)의 이론 및 실습2 | 10-1 | 고통감내기술과 ACCEPT 기법 |
10-2 | 고통감내기술과 DISTRACT | ||
10-3 | 고통감내기술 DISTRACT와 정서조절기술(1) | ||
11 | 변증법적 행동치료(DBT)의 이론 및 실습3 | 11-1 | 정서조절기술(2)-EMOTION |
11-2 | 대인관계기술(1)-DAM기법 | ||
11-3 | 대인관계기술(2)-FAST기술, 다른 심리치료와 비교 | ||
12 | 수용전념치료(ACT)의 이론 및 실습1 | 12-1 | ACT에 대한 소개 |
12-2 | ACT의 정신병리모델 | ||
12-3 | 수용하기 | ||
13 | 수용전념치료(ACT)의 이론 및 실습2 | 13-1 | 인지적 탈융합 |
13-2 | 현재에 존재하기 | ||
13-3 | 맥락으로서의 자기 | ||
14 | 수용전념치료(ACT)의 이론 및 실습3 | 14-1 | 가치찾기 |
14-2 | 전념행동 | ||
14-3 | ACT와 일상생활, ACT에 대한 평가 | ||
15 | 기말평가 | - | |

![]() |
홍영근 교수 부산디지털대학교 가족상담학과 교수 경북대학교 심리학과 박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