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강의실

최근 수강강좌 목록

현재 진행중인 강좌(청강제외)만 출력됩니다.

최근접속순 최대 10개 강좌만 표시됩니다.

메이저 사이트
메이저 사이트 학점은행제

현재 진행중인 수강강좌가 없습니다.

수강신청 하러가기 →

현재 진행중인 수강강좌가 없습니다.

수강신청 하러가기 →
한국어
  • 한국어
  • ENGLISH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강좌소개
    • 이 강좌는 디지털 친화적 미래 인재에게 요구되는 큐레이팅의 개념과 방법을 파악하고 지역의 인물, 역사적 사건, 삶의 장소, 예술 공간 등 로컬역사문화자원과 관련된 방대한 자료를 수집·분석하고 가치를 부여하여, 이를 재창조하는 실전연습을 통해 구성력을 함양하고 공유가치 생산자로서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학습목표
    • 지역의 역사문화자원을 새롭게 발견하고 적용할 수 있는 민감성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실천할 수 있는 창의성을 함양한다.
    • 지역역사문화자원을 수집, 선별, 조합하여 데이터의 가치를 발굴하고 이를 재창출하여 콘텐츠화 한다.
    강좌 운영일정
    • 수강신청기간 : 25. 06. 26.(수) ~ 25. 09. 07.(일)
    • 강좌운영기간 : 25. 06. 26.(수) ~ 25. 09. 14.(일)
    이수 및 평가기준
    • 영상진도율: 전체 영상에 대하여 90% 이상 진도율로 영상 시청  
    • 전체 성적(퀴즈: 40점, 과제 60점) 중 총 60점 획득  
    • 위 두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한 경우, 이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수업계획서

    주차

    주차명(주제)

    차시

    차시명(학습내용)

    평가방법

    1

    디지털 시대의 이해

    1-1

    디지털 시대의 변천과 디지털 정보의 특징

    퀴즈

    1-2

    디지털 세계의 개인, 공간, 시간

    1-3

    빅데이터와 AI 환경의 도래

    2

    디지털 시대의 문화현상

    2-1

    C세대의 개념과 특징

    퀴즈

    2-2

    밈의 개념과 사례

    2-3

    재미와 가치의 추구

    3

    큐레이팅에 대한 이해

    3-1

    큐레이터의 개념과 변천

    퀴즈

    3-2

    큐레이션의 개념과 사례

    3-3

    큐레이팅의 개념과 사례

    4

    큐레이팅 윤리와 저작권

    4-1

    큐레이팅에 대한 비판과 옹호

    퀴즈

    4-2

    큐레이팅과 저작권 1: 공공누리

    4-3

    큐레이팅과 저작권 2: CCL

    5

    로컬과 로컬역사문화자원에 대한 이해

    5-1

    향토, 지방, 지역

    퀴즈

    5-2

    지역학, 로컬, 글로컬

    5-3

    로컬문화와 로컬역사문화자원

    6

    큐레이팅 소재로서 유네스코 등재유산과 국가유산

    6-1

    유네스코 등재유산의 분류와 가치

    퀴즈

    6-2

    국가유산의 분류와 가치

    6-3

    국가유산 디지털 자료의 수집

    7

    큐레이팅 소재로서 로컬역사문화자원

    7-1

    역사문화자원 1: 인적자원, 공간적자원

    퀴즈

    7-2

    역사문화자원 2: 시간적자원, 정신적자원

    7-3

    역사문화자원 3: 콘텐츠자원

    8

    중간고사

    -

    중간고사

    시험

    9

    큐레이팅을 위한 질문하기와 가주제 정하기

    9-1

    질문 방법에 대한 이해

    -

    9-2

    로컬의 국가유산을 통한 질문 연습

    9-3

    큐레이팅 영상 콘텐츠 가주제 선정

    10

    큐레이팅 영상 콘텐츠 기획서 작성에 대한 이해

    10-1

    기획서의 작성에 대한 이해

    -

    10-2

    큐레이팅 영상 콘텐츠 기획서 작성법

    10-3

    SWOT 분석에 대한 이해

    11

    큐레이팅 영상 콘텐츠 제작을 위한 전략 구상

    11-1

    관련 큐레이팅 영상 콘텐츠 사례 수집

    -

    11-2

    SWOT 분석의 내적 역량 분석

    11-3

    SWOT 분석의 외적 환경 분석

    12

    큐레이팅 영상 콘텐츠 제작을 위한 스토리 구상

    12-1

    스토리 구상을 위한 내용 수집과 정리

    -

    12-2

    스토리보드와 영상 요소에 대한 이해 

    12-3

    스토리보드 작성과 사례 

    13

    큐레이팅 영상 콘텐츠 제작을 위한 현장 답사와 기획서 수정

    13-1

    현장 답사 준비

    -

    13-2

    현장 답사 방법

    13-3

    기획서 수정

    14

    큐레이팅 영상 콘텐츠 편집과 디지털 공간 전시

    14-1

    스마트폰 영상 편집 앱에 대한 이해와 CapCut

    -

    14-2

    CapCut PC 버전 영상 편집 연습

    14-3

    유튜브 채널 개설과 전시 유의사항

    15

    기말고사

    -

    기말고사

    과제

    미리보기
    강좌운영진
    • 박미선 교수

      현)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부교수

      전)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원 전임연구원

      E-mail: 메이저 사이트@jnu.ac.kr


    • 강좌지원조교

      배은유 TA 

      - 전남대학교 인문커뮤니티융합학과 박사과정

      - E-mail: 메이저 사이트@jnu.ac.kr

    자주묻는질문

    Q 이수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A 이 강좌의 이수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 성적: 전체 성적 중 60점 이상 획득 - 영상진도율: 전체 영상에 대하여 90% 이상 진도율을 획득 위 2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이수증 발급이 가능합니다.

    Q 선수학습이 필요한 강좌인가요?

    A 이 강좌는 교양 수준으로 제작되었으며, 인문학, 큐레이팅, 로컬문화에 관심이 있는 누구나 학습할 수 있습니다.

    Q 강좌 교재가 따로 있나요?

    A 이 강좌는 별도의 교재가 없으며, 학습자료를 별도 PDF 파일로 제공합니다.

    기타·문의처
    ☎ 062)530-5029 (전남대학교 교육혁신본부)

    분야 인문 (인문과학)

    난이도 교양

    운영기관 전남대학교

    이수증 발급

    주차 15 주

    학습인정시간 20시간 00분 (15시간 24분)

    수강신청기간 25.06.26 ~ 25.09.07

    강좌운영기간 25.06.26 ~ 25.09.14

    전화번호 062-530-5029

    자막언어 한국어 외 1건

    강좌언어 한국어(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