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강의실

최근 수강강좌 목록

현재 진행중인 강좌(청강제외)만 출력됩니다.

최근접속순 최대 10개 강좌만 표시됩니다.

메이저 사이트
메이저 사이트 학점은행제

현재 진행중인 수강강좌가 없습니다.

수강신청 하러가기 →

현재 진행중인 수강강좌가 없습니다.

수강신청 하러가기 →
한국어
  • 한국어
  • ENGLISH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수업 내용/목표

    건강한 노년기를 준비하고, 건강수명을 늘리기 위한 노인 건강증진의 통합적 시각을 갖도록 한다. 노인건강의 주요 이슈를 진단하고, 노인 관련 보건의료 제도를 이해하고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운다.

    강좌 운영 계획

    주차 주차명(주제) 주차별 학습 목표 차시 차시명
    학습내용
    1 고령화와 노인건강 고령화의 의미와 노인건강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1-1 한국, 초고령사회 진입
    1-2 고령화지수, 미래인구 추계, 한국의 급속한 고령화, 고령화와 세계적, 추세미래인구 구조
    1-3 건강한 노년을 위한 학문
    노화의 개념, 노화와 건강, 노인의 기준
    1-4 노인보건의 목표
    성공노화, 활기찬 노화,건강노화
    2 노인 건강증진  건강노화 건강증진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2-1  노년기 건강증진 필요할까?
    건강의 의미, 건강노화궤적
    2-2 노년기 건강상태 어떻게 알 수 있을까?
    건강지표, 주관적건강인지율, 건강영향요인과 건강의 관계
    2-3 건강한 노화를 위한 개념틀
    노인 건강관리, 노인의 건강관리 원칙: 건강수명 현황
    2-4 지금은 건강증진 시대
    건강증진 healthy aging 개념
    2-5 지금은 노인건강증진 시대
    노인 건강관리 필요성, 노년기 건강행위 권고, 노인건강관리의 효과
    2-6 노인건강증진과 헬스리터러시
    헬스리터러시 개념, 헬스리터러시의 영향, 한국 노인 헬스리터러시 현황
    2-7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노인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의 목적, 노인 관련 지표
    3 노화 노화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3-1 노화가 뭘까?
    노화 개념, 노화와 질병
    3-2 노화는 질병인가?
    노화를 질병으로 보는 입장, 노화를 질병으로 보지 않는 입장, 항노화 연구 현황
    3-3 생물학적 노화이론
    생물학적 노화이론: 노화 관련 가설들
    3-4 노화로 인한 생리적 변화
    심혈관계, 호흡기계, 신장/비뇨기계, 신경계, 근골격계 등
    3-5 사회심리적 노화이론
    성장발달이론, 사회통합이론, 성공노화, 생태학적 모형
    4 건강노화와 신체기능 신체기능 의미와 측정 방법, 노쇠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4-1 신체기능의 의미
    건강노화와 신체기능, Nagi 와 ICF 개념모형
    4-2 노년기 신체기능의 측정
    악력, 근력, IADL/ADL
    4-3 노년기 신체기능의 관련 요인
    신체기능저하관련요인, 가역적인 과정
    4-4 질환의 압축가설
    질환의 압축가설, 확대가설, 동적균형가설
    4-5 노쇠
    노쇠개념, 증상, 개념도, 악순환, 진단, 치료형
    5 건강노화와 인지기능, 치매 치매, 인지기능 증상과 대응을 설명할 수 있다. 5-1 인지기능 개념
    인지기능 개념, 현황
    5-2 노인인지기능평가
    인지저하선별검사
    5-3 경도인지장애
    경도인지장애 진단, 치료
    5-4 치매
    치매개요, 치매유형, 치매 유병률, 부담수준, 치매관련 문제행동
    5-5 치매 대응을 더 알아보자
    치매관리법, 치매안심센터 등 관련제도와 기관
    5-6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P2030)의 치매
    국가적 치매 관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6 건강노화와 정신건강 노인의 심리, 우울, 불안,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6-1 노인의 심리 특성
    노화에 따른 심리적 상태
    6-2 노인 우울
    증상, 우울 검사
    6-3 노인 우울증
    질병 진단, 원인, 치료
    6-4 노인 자살
    자살률 경향, 자살 대응
    6-5 노인 정신건강 문제 대응과 치료
    대응과 치료 원칙
    7 건강한 노화와 건강생활실천 건강노화를 위한 건강행동을 설명할 수 있다. 7-1 신체활동
    신체활동, 운동 개념, 신체활동의 건강효과, 신체활동의 의료비용 절감효과, 뇌쇠 악순화 가설, 한국의 신체활동 권고기준, 신체활동 실천율 현황
    7-2 영양
    영양불량, 영양 결핍 기준과 현황, 영양 문제 유형,영양 문제 선별, 단백질 섭취 권고
    7-3 다중건강생활실천
    건강행동의 의미. 노년기 건강행동 실천의 의미, 건강영향, 다중건강행동 개선 방안
    7-4 개인 건강생활실천이론
    개인의 건강행동을 설명하는 이론
    7-5 HP2030 건강생활실천
    신체활동, 영양, 노인, 보건소의 건강생활실천 프로그램
    8 중간고사
    9 건강한 노화와 안전 노년기 안전문제에 개념과 유형별 특성을 이해하고, 예방 및 개선 노력을 설명할 수 있다. 9-1 노인사고
    안전사고와 위해, 아차사고, 고령자 안전사고 개념, 고령자 위해 특성
    9-2 낙상과 교통사고
    고령자 낙상사고 현황, 낙상 사고 원인, 낙상 대비, 고령자 교통사고 현황과 예방
    9-3 안전한 약물 사용
    노인 약물 복용 현황, 약물 연쇄 처방, 약물 오남용, 의약품 안전사용서비스(DUR)
    9-4 HP2030 손상
    손상 부분 성과지표: 손상사망률, 손상입원율, 낙상입원율, 운수사고입원율
    10 건강한 노화와 테크놀로지 노인보건과 관련된 테크놀로지의 특성과 가능성을 설명할 수 있다. 10-1 건강노화를 위한 기술
    기술의 발달과 건강노화, 고령친화기술 산업
    10-2 AIP technology
    Aging-in-place 중요성 Aging-in-place & technology
    10-3 고령친화기술 개념과 현황
    고령친화기술 용어, 고령친화우수제품
    10-4 건강노화를 위한 디지털대전환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현황, 보건의료 패러다임의 변화
    10-5 기술수용자로서 노인
    고령자 기술수용 사례, 기술수용자를 고려한 전략
    10-6 HP2030 혁신적 정보기술의 적용
    혁신적 정보기술의 적용 과제의 목적 정보기술을 활용한 보건소 건강관리 사업
    11 노인보건의료 노인의료이용 현황과 제도적 특성, 개선방향을 이해할 수 있다. 11-1 노인의료이용 현황
    노인의료의 현황과 문제점
    11-2 노인의료비 문제
    건강보험 제도의 지속가능성
    11-3 노인의 진료비 본인부담 괜찮은가?
    성인과 노인의 진료비 본인부담
    11-4 예방적 의료
    노년기, 예방의료의 의미, 백신접종, 건강검징화
    11-5 아급성기 의료와 전환기 의료는 무엇인가요?
    아급성기/전환기 의료의 개념과 정의/ 외국의 전화기 의료 현황
    11-6 노인의료제도 개선 방안(1)
    지속가능성, 보장성을 고려한 노인보건의료제도의 개선 방안
    11-7 노인의료제도 개선 방안(2)
    빅테이터 상호 연계, 융합 건강보험 서비스 제공 등
    12 장기요양 노인장기요양의 특성과 서비스 유형을 이해할 수 있다. 12-1 장기요양이란?
    개념, 서비스 종류
    12-2 한국 장기요양 제도 개요
    한국 장기요양제도, 요양병원, 시설서비스, 재가서비스, 보헙급여
    12-3 한국장기요양 현황
    병상 규모 현황, 증가추이,
    12-4 장기요양이용을 위한 계획
    노인장기요양 인정자, 이용자 규정과 조건
    12-5 장기요양재정
    이용시 본인부담, 재정적 지속 가능성
    12-6 장기요양서비스 선택 고려사항: 서비스 질과 안전
    질 관리 개선과 인력, 장기요양기관 질 평가 개념과 결과 확인 방법
    13 지역사회 통합 돌봄과 노인가족돌봄 보건, 복지, 의료 서비스 통합, 연계의 필요성과 방향을 이해할 수 있다. 노인가족돌봄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다. 13-1 통합케어 왜 필요한가?
    통합케어의 개념과 대두배경, 방향
    13-2 지역사회 노인보건에 대해 살펴보자
    지역사회 사업, 지역사회 노인보건의 과제, 주요 지역통합케어 사례
    13-3 정보통합연계! 왜 필요한가?
    통합케어에서 정보통합의 개념과 필요성
    13-4 건강불평등개선
    건강불평등 개념, 건강불평등 개선을 위한 노력
    13-5 노인가족돌봄
    돌봄부담, 돌봄기술
    14 건강노화 결정요인 건강노화의 결정요인을 설명할 수 있다. 14-1 건강결정요인이란?
    개념, 선행연구
    14-2 노인건강은 무엇이 결정하는가?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14-3 미시적 관점에서 본 건강결정요인
    건강결정요인의 미시적 관점
    14-4 거시적 관점으로 본 건강결정요인
    건강결정요인의 거시적 관점
    14-5 질병발생에서 건강불평등(1)
    사회경제적 차이에 따른 질병발생
    14-6 질병발생에서 건강불평등(2)
    질병예방 행위의 차이
    14-7 지역 사회 환경에서 발생하는 건강불평등(3)
    지역별 노인 건강 비교, 의료 및 편의시설 접근정도에 따른 노인건강과의 관련성
    15 기말고사

    강좌 오리엔테이션

     

       

    강좌 운영팀 소개

    정영일

    ♦ 교수자

    • 정영일 교수
    • 소속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보건환경학과
    • 학력
      - 중앙대학교 약학과 학사
      -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박사
    • 연구분야 : 노인보건정책, 건강증진, 장기요양, 환자안전

    ♦ 강좌지원팀(튜터)

    • 선정수 조교
    • 소속 : 전 뉴스톱, 국민일보 기자
    • 학력
      - 고려대 신문방송학과 학사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학사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시스템학과 석사
    • E-mail : jsun9542@gmail.com

    이수/평가정보

        과제명     

          퀴즈      

         토론     

        중간고사    

        기말고사    

           총점       

    빈영비율

    20%

    10%

    35%

    35%

    100%


    교재 및 참고 문헌
    • 정덕유 외 (2020). 노인과 건강. 현문사
    • 한국역학회 노인건강연구회 (2022). 노화역학. 범문에듀케이션
    • 조병희, 정영일 (2024). 젊게 늙는 사회.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정영일

    미리보기

    분야 의약 (치료 · 보건)

    난이도 전공기초

    운영기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이수증 발급

    주차 15 주

    학습인정시간 22시간 37분 (17시간 37분)

    수강신청기간 25.06.02 ~ 25.09.12

    강좌운영기간 25.06.02 ~ 25.09.12

    전화번호 02-3668-4849

    자막언어 한국어 외 1건

    강좌언어 한국어(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