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활쏘기 강좌계획표 | 주제 | 소주제 | 비고 |
1주차 | 인류와 맥을같이 한 활쏘기 | 1. 선사시대의 활쏘기 2. 역사시대의 활쏘기 | |
2주차 | 우리민족의활쏘기 역사 | 1. 한반도의 활쏘기 2. 무기를 넘어 문화의 싹을 틔운 활쏘기 3. 활쏘기, 체계화된 문화로 나아가다 | |
3주차 | 여명기우리민족의 활쏘기 역사 | 1. 외국인의 눈에 담긴 활쏘기 2. 근대를 거쳐 현대의 스포츠로 | |
4주차 | 명화속의활쏘기 | 1. 활쏘기, 생존을 위한 기술 2. 활쏘기, 일상으로 스며들다 3. 활쏘기, 예를 드높이다 | |
5주차 | 튀르키예의활쏘기 | 1. 튀르키예의 활쏘기 역사 2. 인류의 무형문화유산이 된 활쏘기 | 특강有 |
6주차 | 일본의활쏘기 | 1. 일본 궁도의 역사와 활의 특징 2. 경기대회와 심사회 3. 기술을 넘어 구도의 문화로 | |
7주차 | 우리나라의 활쏘기와 양궁 | 1. 같은 듯 다른 활쏘기와 양궁 2. 사법으로 보는 차이 | |
8주차 | 중간고사 | | |
9주차 | 우리 활과화살의 우수성 | 1. 우리나라 고유의 화살, 각궁과 죽시 2. 각궁과 죽시의 우수성 | |
10주차 | 단체스포츠로서의 활쏘기(편사) | 1. 스포츠로서의 활쏘기, 편사 2. 편사 중의 편사, 장안편사놀이 | |
11주차 | 활터 예절과활쏘기 정신 | 1. 활터에서의 마음가짐, 궁도구계훈 2. 활을 다루고 쏘는 방법, 집궁제 원칙 | 특강有 |
12주차 | 활터 예법의실제 | 1. 등정과 퇴정, 사대에 오르기 2. 사대에서의 예법 | |
13주차 | 전통 활쏘기사법- 준비자세 | 1. 전통 사법과 사법서에 대한 이해 2. 전통사법의 비교와 실제: 준비동작 | |
14주차 | 전통 활쏘기사법- 거궁,만작, 발시, 마치기 | 1. 전통사법의 비교와 실제: 거궁과 만작 2. 전통사법의 비교와 실제: 발시와 마치기 | |
15주차 | 기말고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