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 '윈도우 호환성' 팩 메이저 카지노 사이트··· '닷넷 프레임워크→닷넷 코어’ 이식
메이저 놀이터 순위트SW 포털
게시글 작성 시각 2017-11-28 05:48:42
2017년 11월 25일 (토)
ⓒ CIO Korea, Paul Krill | InfoWorld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우 닷넷 프레임워크 코드를 크로스 플랫폼 '닷넷 코어(.Net Core)'로 이식할 수 있는 툴을 메이저 카지노 사이트했다. 확장된 API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최근 윈도우 호환성 팩(Windows Compatibility Pack) 베타 버전을 내놓았다. 기존까지 닷넷 프레임워크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던 API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 결과 이제 닷넷 코어 개발자는 API 2만 개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게 됐다(윈도우 호환성 팩은 누겟(NuGet) 패키지를 통해 사용할 수 있다).
닷넷 프레임워크는 윈도우 데스크톱 환경에 최적화됐다. 반면 오픈소스 닷넷 코어는 윈도우와 리눅스, 맥OS용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적합하다. 이런 가운데 이식 가능한 툴을 제공하는 것은 장단점이 있다.
장점은 이제 닷넷 코어에서 추가된 닷넷 프레임워크 API를 이용해 웹 애플리케이션을 확장하거나 리눅스에서 실행할 수 있게 됐다. 닷넷 코어의 활용성이 크게 좋아진 셈이다. 반면 단점은 윈폼(WinForms), WPF(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 같은 마이크로소프트 데스크톱 기술이나 ASP 닷넷을 사용하고자 하는 개발자는 닷넷 프레임워크에 더 종속된다.
실제 마이그레이션은 과정은 단계적으로 처리해야 한다. 윈도우 서버에 구축한 ASP 닷넷 MVC 애플리케이션을 애저 클라우드 기반의 리눅스에서 실행하는 ASP 닷넷 코어 애플리케이션으로 마이그레이션하는 경우를 보자. 마이크로소프트는 여전히 닷넷 프레임워크를 목표로 하며 ASP 닷넷 코어로 마이그레이션하라고 조언한다. 이후에 윈도우에서 실행되는 닷넷 코어로 이전하고, 마지막으로 리눅스와 애저로 이동할 것을 권한다.
물론 실제 마이그레이션 과정은 이보다 훨씬 복잡하고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소프트는 마이그레이션 가이드를 제공한다. 이 가이드에는 서드파티 의존성과 API 이식성을 분석하는 툴이 포함돼 있다.
.jpg)
Credit: Getty Images Bank
마이크로소프트가 최근 윈도우 호환성 팩(Windows Compatibility Pack) 베타 버전을 내놓았다. 기존까지 닷넷 프레임워크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던 API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 결과 이제 닷넷 코어 개발자는 API 2만 개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게 됐다(윈도우 호환성 팩은 누겟(NuGet) 패키지를 통해 사용할 수 있다).
닷넷 프레임워크는 윈도우 데스크톱 환경에 최적화됐다. 반면 오픈소스 닷넷 코어는 윈도우와 리눅스, 맥OS용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적합하다. 이런 가운데 이식 가능한 툴을 제공하는 것은 장단점이 있다.
장점은 이제 닷넷 코어에서 추가된 닷넷 프레임워크 API를 이용해 웹 애플리케이션을 확장하거나 리눅스에서 실행할 수 있게 됐다. 닷넷 코어의 활용성이 크게 좋아진 셈이다. 반면 단점은 윈폼(WinForms), WPF(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 같은 마이크로소프트 데스크톱 기술이나 ASP 닷넷을 사용하고자 하는 개발자는 닷넷 프레임워크에 더 종속된다.
실제 마이그레이션은 과정은 단계적으로 처리해야 한다. 윈도우 서버에 구축한 ASP 닷넷 MVC 애플리케이션을 애저 클라우드 기반의 리눅스에서 실행하는 ASP 닷넷 코어 애플리케이션으로 마이그레이션하는 경우를 보자. 마이크로소프트는 여전히 닷넷 프레임워크를 목표로 하며 ASP 닷넷 코어로 마이그레이션하라고 조언한다. 이후에 윈도우에서 실행되는 닷넷 코어로 이전하고, 마지막으로 리눅스와 애저로 이동할 것을 권한다.
물론 실제 마이그레이션 과정은 이보다 훨씬 복잡하고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소프트는 마이그레이션 가이드를 제공한다. 이 가이드에는 서드파티 의존성과 API 이식성을 분석하는 툴이 포함돼 있다.
※ 본 내용은 한국IDG(주)(http://www.ciokorea.com)의 저작권 동의에 의해 공유되고 있습니다.
Copyright ⓒCIO.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문출처 : http://www.ciokorea.com/news/36384]
번호 | 제목 | 조회수 | 작성 |
---|---|---|---|
7605 | [주간 OSS 동향 리포트] 리눅스 선구자 뮌헨시, 윈도 회귀 결정 | 6269 | 2017-11-29 |
7604 | 포브스가 예측한 ‘2018년 블록체인 트렌드’ 5선 | 5995 | 2017-11-28 |
7603 | [DD 주간브리핑] 내년 '클라우드' 키워드는?....AWS, 연례 컨퍼런스에 쏠리는 관심 | 6080 | 2017-11-28 |
7602 | MS '윈도우 호환성' 팩 보증 사이트 추천··· '닷넷 프레임워크→닷넷 코어’ 이식 - | 6114 | 2017-11-28 |
7601 | 리눅스 선구자 뮌헨시, 윈도 회귀 결정 | 6062 | 2017-11-27 |
7600 | [마소콘 2017] 김민태 우아한형제들 수석연구원 “오픈소스 기여자 되려면 스스로 시작하라” | 5706 | 2017-11-27 |
7599 | [마소콘 2017] 김동우 개발자 "리엑트가 뭐냐고요? 페이스북이 선택한 오픈소스입니다" | 5671 | 2017-11-27 |
7598 | [마소콘 2017] 박준석 수석 \"오픈소스 메이저 사이트 추천도 보호 받을 | 5178 | 2017-11-27 |
7597 | IT조선·마소, 마소콘 2017 성료…오픈소스 개발자 소통의 장 마련 | 5445 | 2017-11-27 |
7596 | 생산성을 끌어 올려 줄 7가지 리눅스 앱 | 6345 | 2017-11-27 |
0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