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테크넷서밋 2019] HPE의 제안 “물리 서버도 VM처럼 관리 가능합니다”
9월 19일
ⓒ 디지털데일리, 이대호기자| ldhdd@ddaily.co.kr
휴렛팩커드엔터프라이즈(HPE)는 1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최,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디지털데일리가 공동 주관한 ‘오픈테크넷서밋 2019’ 컨퍼런스를 통해 물리 서버를 가상머신(VM)처럼 편하게 관리할 수 있는 컴포저블인프라스트럭처(CI) 제품을 제시했다. 바로 ‘HPE 시너지’다.
HPE 시너지는 ▲소프트웨어정의 인텔리전스 ▲유동 자원 풀 ▲통합 API 등을 지원한다. VM에서 템플릿을 만들듯 물리 서버도 프로파일만 만들면 쉽게 관리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하드웨어의 구성이 프로파일에 추상화돼 이 프로파일만 적용하면 되는 식이다. 하드웨어 장애를 운영체제(OS) 리부팅 시간만으로도 복구할 수 있다.
박정준 HPE 컨설턴트<사진>는 “프로파일을 하드웨어에 입히면 된다”며 “프로파일을 내리고 구성하는 것만으로 서버를 넣고 키보드를 연결하는 모든 작업이 사라진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하드웨어를 오래 사용하면 동일한 운영환경 관리 자체가 불가능하다”며 “HPE 시너지로 서버 구성뿐 아니라 펌웨어 레벨까지도 조정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최근 x86서버가 늘어나 인프라 복잡도가 심해지는 상황과 관련해 CI 제품이 대안이 될 것이란 자신감도 내비쳤다.
박 컨설턴트는 최대 60대 서버까지 단일 패브릭으로 확장한 ‘랙스케일’을 내세웠다. 랙스케일 패브릭 아키텍처의 경우 가상화하기 위한 하드웨어 변경을 최소화한 것이 특징이다. 어댑터 카드 자체를 장착해 프로파일을 입혀 가상화를 준비할 수 있다. 케이블링과 공조 등에서도 장점이 있는 아키텍처로 설명했다.
※ 본 내용은 (주)디지털데일리(http://www.ddaily.co.kr)의 저작권 동의에 의해 공유되고 있습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번호 | 제목 | 조회수 | 작성 |
---|---|---|---|
1012 | [오픈테크넷서밋2019] 메가존, “엘라스틱 스택, 컨테이너 모니터링 최적 솔루선” file | 5131 | 2019-09-20 |
1011 | [오픈테크넷서밋 2019] HPE의 제안 “물리 서버도 VM처럼 관리 가능합니다” file | 5082 | 2019-09-20 |
1010 | [오픈테크넷서밋 2019] 넷앱, 컨테이너 관리 솔루션 중요성 강조 file | 5512 | 2019-09-20 |
1009 | [오픈테크넷서밋 2019] 5G 시대 인프라 구성 위해 오픈SW 기반 협업 필요 file | 5320 | 2019-09-20 |
1008 | [오픈테크넷서밋 2019] ‘클라우드 네이티브’ 강조한 네이버, 오픈소스 최대한 활용 file | 5072 | 2019-09-20 |
1007 | [오픈테크넷서밋 2019] 과기정통부 강도현 국장 “데이터경제 성공위해 오픈 전략 적극 지원” file | 5595 | 2019-09-20 |
1006 | “K8s은 진화중”…지난 5년 간 어떤 변화 있었나 file | 6186 | 2019-09-20 |
1005 | 컨테이너는 VM을 대체할까, 공존할까 file | 5999 | 2019-09-15 |
1004 | 클라우드 핵심 키워드가 된 '컨테이너'…왜 쓰냐고 물으신다면… | 5919 | 2019-09-14 |
1003 | [社告] 클라우드와 오픈소스 전략, 어떻게?… '오픈 테크넷' 컨퍼런스 19일 개최 | 5164 | 2019-09-07 |
0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