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OSS 동향 리포트]출연연도 팔 걷고 지원 나선 '오픈소스', 라이선스 준수 강조
2020년 08월 19일(수)
Open UP에서는 지난 한 주의 국내외 공개SW 관련 동향을 모아 정리합니다.
자세한 기사 내용은 아래 기사 내용 중 굵게 표시된 제목을 클릭하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오픈소스 기반 플랫폼을 구축하고 연구개발에 본격 활용할 예정입니다. 2019년 말 정부출연연 최초로 오픈소스 기반 연구 활동을 내부 규정으로 제도화했고 올해부터는 전문위원제도를 도입하는가 하면, 2021년까지 오픈소스 커미터(Committer)를 양성하겠다는 목표도 세웠습니다.
저작권자가 소스코드를 공개해 사용은 물론 수정과 재배포, 복제 등을 자유롭게 만든 오픈소스메이저 놀이터 순위에도 지켜야 할 라이선스 조건이 있습니다. 원저작권자 요구에 따라 저작권을 고지하거나 소스코드를 공개하는 등의 요구 사항을 지켜야만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2019년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중소기업의 오픈소스 라이선스 위반율은 44%에 달합니다.NIPA는 오픈소스 인식제고 및 이용활성화 지원 활동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한국저작권위원회와 업무 협약을 체결해 ▲오픈소스 라이선스 인식제고 ▲오픈소스 라이선스 교육 및 캠페인 공동 추진 ▲공공기관의 오픈소스 도입 및 활용 확대에 대한 지원 활동 등을 펼치고 있습니다.
충북대학교 메이저 놀이터 순위중심대학사업단 오픈소스메이저 놀이터 순위센터가 지난 8월 10일부터 8월 13일까지 충북대 재학생 80여 명을 대상으로 공개메이저 놀이터 순위개발자센터와 ‘공개메이저 놀이터 순위전문교육(기본)’을 진행했습니다. 이번 교육은 AI, 빅데이터 등 신메이저 놀이터 순위전문분야인 공개메이저 놀이터 순위프로젝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AI-빅데이터(Bigdata)와 AI분야 두 개의 과목으로 구분해 진행 되었으며, 코로나19의 확산 방지를 위해 ZOOM을 활용한 온라인 강의로 이루어졌습니다.
충북대 메이저 놀이터 순위중심대학사업단 오픈소스메이저 놀이터 순위센터는 △오픈소스메이저 놀이터 순위활용 교육 지원 △오픈소스메이저 놀이터 순위개발 프로젝트 지원 및 발굴 △오픈소스메이저 놀이터 순위센터 운영보조원 운영 △오픈소스메이저 놀이터 순위 동아리 지원 △전국 오픈소스메이저 놀이터 순위 개발자 대회 참가 지원 △오픈소스메이저 놀이터 순위 특강 프로그램 △충북지역 오픈소스메이저 놀이터 순위 커뮤니티 프로그램 등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파이썬 기반 소스코드에서 보안 오류를 찾을 수 있는 인스타그램의 보안 도구가 오픈소스로 공개됐다. 페이스북이 인스타그램의 보안도구인 파이사(Pysa)를 깃허브를 통해 오픈소스로 공개했다고 최근 보도했다. 파이사는 파이썬기반의 소스 코드에서 버그를 찾아주는 정적분석기다. 코드를 컴파일하기 전 단계에서 코드를 스캔 후 버그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패턴을 찾으면 플래그로 개발자에게 알리는 방식이다. 이 도구는 보안관련 버그나 문제를 찾는 것에 특화됐으며 주로 프로그램 내 데이터의 흐름을 추적한다. 페이스북은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공개할 수 있을 정도로 프로그램이 성숙했다며 2020년 상반기 인스타그램의 파이썬 서버코드에서 모든 보안 버그의 44%를 파이사로 감지했다고 설명했다.
오라클을 필두로 상용 DBMS가 주력이던 국내 시장에도 오픈소스 바람이 강하게 불고 있다. 오픈소스 DBMS 마리아DB(MariaDB)도 이러한 추세를 좇아 한국 시장 확대에 나섰다. 삼성, LG, SK, 포스코 등 대기업에서도 마리아DB를 사용 중인 만큼 1차적 검증은 마쳤으며, 여기에 오라클DB 등 상용 DB에서 오픈소스로 전환하려는 수요도 흡수한다는 방침이다.
대규모의 데이터를 유연하게 처리할 수 있는 강점을 가진 비관계형 DBMS 노에스큐엘(NoSQL)도 부상하기 시작했다. NoSQL의 대표적인 제품인 몽고DB는 지난해 국내에서 기술 컨퍼런스를 개최하는 등 사용자 지원을 확대하며 국내 시장 영향력을 높여나가고 있다.
지난 3년 동안 국내 DBMS 시장은 연 평균 11%의 고성장을 지속해왔다. 업계에서는 국내 DBMS 시장이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클라우드 환경으로 전환되는 시점에 있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일반 OLTP 환경에서는 국산 DBMS의 점유율도 확장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국내 DBMS 시장에서는 ‘국산 DBMS 및 오픈소스 DBMS 시장 확대’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정부 및 공공부문의 클라우드 전환 움직임이 빨라지면서 외산 DBMS 대신 국산 및 오픈소스 DBMS를 도입하려는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오픈소스 DBMS 기업 큐브리드는 공공부문 레퍼런스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통합 데이터 플랫폼 전문 기업 인젠트도오픈소스에 관심이 있어도 기존 시스템 전환의 어려움 및 기술지원 부재로 인해 오픈소스를 선택하지 못하는 기업들을 지원하고자 ‘엑스퍼DB’를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 Open UP -
번호 | 제목 | 조회수 | 작성 |
---|---|---|---|
8985 | 아마존, 오픈스택 최대 경쟁자 랙스페이스 지분 인수에 관심 | 5622 | 2020-08-19 |
8984 | 이액티브, 개방형 OS 구름 플랫폼 3.0 배포판 개발 전면에 나섰다 | 5371 | 2020-08-19 |
8983 | [주간 OSS 동향 리포트]출연연도 팔 걷고 지원 나선 '오픈소스', 라이선스 준수 강조 | 6047 | 2020-08-19 |
8982 | “오픈소스에선 커뮤니티 직책이 우선” 레드햇 직원에게 듣는 쿠버네티스 커뮤니티의 문화 | 5717 | 2020-08-13 |
8981 | “대열 붕괴” 마이크로소프트, 자체 서비스 메시 OSM 발표 | 5304 | 2020-08-13 |
8980 | 구글, AI학습모델 코드 자동작성 도구 개발 | 5799 | 2020-08-13 |
8979 | "110만 공무원에 클라우드 PC를..." 공공 시장 향한 KT의 진격 - 메이저 카지노 | 4807 | 2020-08-13 |
8978 | 블랙베리, 리버스 엔지니어들을 위한 도구 무료로 배포 | 5740 | 2020-08-13 |
8977 | KAIST, 초고속·대용량 데이터 처리 기술 오픈소스로 공개 | 5008 | 2020-08-13 |
8976 | IBM, 자체 동형암호 개발도구 공개…'안전한 개인정보 활용' 가속화 | 4795 | 2020-08-13 |
0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