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정보중심 고품질 사물 연결기술 개발
2018년 11월 06일
ⓒ 디지털데일리, 홍하나 hhn0626@ddaily.co.kr
IETF 국제표준후보 정보중심 네트워킹 기술요구사항·구조기술 채택

[디지털데일리 홍하나기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연구진이 제안한 정보중심네트워킹(ICN), 네임 레졸루션 서비스(NRS)를 이용한 ICN 구조기술 등이 국제인터넷표준화기구(IETF)에서 지난 달 표준화 그룹 문서로 최종 확정됐다고 6일 밝혔다. 이와함께 ETRI는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연구원 깃허브 홈페이지를 통해 오픈소스를 메이저 사이트 추천한다.
국제표준 후보로 채택된 ICN에서 NRS 기술요구사항은 지난 2016년 IETF에 제안, 일본, 중국 등 국제 연구진들과 함께 개발한 문서다. ETRI에서 홍정하 박사가 의장격인 에디터를 맡아 문서 개발을 주도했다.
NRS를 이용한 ICN 구조기술은 ETRI 연구진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문서로 올해 3월, IETF에 처음 기고서를 제출, 약 7개월 여 만에 표준화 그룹문서로 채택됐다. ETRI에서 홍용근 실장을 비롯, 홍정하 박사, 유태완 박사가 에디터를 맡고 있다.
기존 인터넷 통신에는 TCP/IP방식이 주로 사용됐다. 하지만 이 방식은 IP주소 기반 기기중심 네트워킹이 이뤄져야 하기 때문에 IoT에서 IoE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수많은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에는 적절치 않다. 그래서 나온 개념이 정보중심 네트워킹(ICN)이다. 얻고자 하는 데이터를 더 이상 기기중심이 아닌 데이터나 정보중심 네트워킹을 통해 얻겠다는 것이다.
아울러 기존 사용하던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 개념을 활용, 정보중심 네트워킹에서 정보를 찾아올 때 중간에서 이름변환을 통해 보다 쉽게 데이터 이용이 가능토록 하는 시스템을 만들었다. 일명 네임 레졸루션 서비스(NRS)다. NRS는 URI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이름을 네트워킹 가능한 이름으로 변환해 데이터를 연결해 준다.
따라서 이 기술은 이동하면서 끊김없이 영상 제공이 가능케 해줌으로써 향후 드론, 고화질 카메라, 자동차 블랙박스 등과 같은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에도 적용이 예상된다. 즉 더 이상 이동에 따른 IP주소 변경 없이 끊김 없는 서비스나 실시간 고품질 영상을 보여주기가 훨씬 쉬워진다는 의미다.
연구진은 향후 ▲IoE 엣지 컴퓨팅(Edge Computing) ▲KSB 인공지능 프레임워크 등과 연계하여 사람, 사물, 데이터 등이 모두 인터넷에 연결될 것으로 전망되는 초연결 사회를 위한 사물 연결 기술을 개발 예정이다.
※ 본 내용은 (주)디지털데일리(http://www.ddaily.co.kr)의 저작권 동의에 의해 공유되고 있습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문출처 :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74492]
번호 | 제목 | 조회수 | 작성 |
---|---|---|---|
972 | ETRI, 정보중심 고품질 사물 연결기술 개발 | 5486 | 2018-11-07 |
971 | IBM + 레드햇 '후폭풍'…더 주목받게된 국민은행 '차세대' 사업 | 5981 | 2018-10-31 |
970 | [주간 OSS 동향 리포트]IBM, 레드햇 인수... 클라우드 시장 대응 | 8261 | 2018-10-30 |
969 | IBM, ‘레드햇’ 39조원에 인수…클라우드 게임 체인저 될까 | 5266 | 2018-10-29 |
968 | 큐브리드-오픈나루, 오픈소스 DB 위한 APM 솔루션 출시 | 6008 | 2018-10-24 |
967 | SKT, 오픈플랫폼 전략 박차…이번엔 스마트팩토리 | 5529 | 2018-10-19 |
966 | [주간 OSS 동향 리포트]MS, Linux 보호 위해 특허 6만개 공개 | 7195 | 2018-10-16 |
965 | 엔비디아, 빅데이터·머신러닝용 GPU 가속 플랫폼 메이저 사이트 추천 | 5537 | 2018-10-12 |
964 | [주간 OSS 동향 리포트]클라우데라-호튼웍스 합병...거대 빅데이터 기업 탄생 | 7580 | 2018-10-10 |
963 | “IoT·보안업계 깃허브 될 것”…시큐어 플래닛이 오픈소스 보안 취약점 DB 만든 이유 | 5774 | 2018-10-08 |
0개 댓글